아이·부모가 행복한 도시 원주… 아동보육 분야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헬스케어·천연물·항체… K바이오헬스 메카 꿈꾸는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살기 좋은 도시 영월… 정책 다각화로 인구 감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 무관심에… 40개 시·군, K패스 ‘교통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시선집중] (3) 동대문 ‘희망 결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전 직원 1:1 결연 ‘사랑나눔 1년’… 냉골에 퍼지는 희망

동대문구는 최근 행정안전부가 주최한 ‘대한민국 지방자치경영대전’에서 복지 분야 전국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서울시 ‘희망온돌 프로젝트’ 평가에서도 25개 자치구 가운데 최우수구로 선정됐다. 비결은 바로 유덕열 구청장이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희망의 1대1 결연 프로젝트’에 있었다.


유덕열(오른쪽) 동대문구청장이 지난달 30일 1대1 결연 대상자를 찾아 대화를 나누고 있다.
동대문구 제공

유 구청장은 평소 공공기관만으로는 복지수요를 감당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고민해 왔다. 어떻게 하면 한정된 예산 속에서 새로운 복지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까. 고민 끝에 나온 아이디어가 바로 민관 협력을 통해 복지사각지대 주민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1대1 결연 프로젝트였다.

지난해 12월부터 본격 가동되기 시작한 결연 프로젝트는 유 구청장부터 환경미화원에 이르기까지 1300여 구청 전 직원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소외계층과 결연을 맺어 이들을 직접 돌보며 이들에게 필요한 복지수요를 파악해 가는 특화사업이다.

매월 둘째 주를 이웃사랑 주간으로 지정하고 월 1~2회 정기 상담을 통해 수렴된 복지수요를 민관이 협력해 해결함으로써 복지사각지대 주민의 복지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유 구청장이 마련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도 사업이 성공하는 데 한몫했다.


먼저 풀뿌리시민단체나 지역 상인 등 이웃 사정을 잘 아는 구민 80여명을 ‘나눔반장’으로 위촉했다. 나눔반장들은 복지사각지대 주민을 발굴하고 부구청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1대1 희망지원위원회’를 구성해 필요한 지원 방식과 경로를 결정하도록 했다. 5월에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했고 6월에는 상담매뉴얼도 제작했다. 상담매뉴얼을 통해 더 효과적인 상담을 하도록 하고 상담결과는 전산시스템에 입력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263명, 독거노인 149명 등 모두 1328명이 구청 공무원들과 결연관계를 맺게 됐다. 유 구청장 역시 결연에 참가했다.

복지사각지대 주민 대부분은 고령의 독거노인이다. 의료비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유 구청장은 의료수요가 크다는 점에 착안해 삼육재단을 설득, 의료서비스 지원을 받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 13일 삼육서울병원과 삼육치과병원과 희망의 1대1 결연의료서비스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동대문구 복지사각지대 주민들은 산후조리원(20%), 건강진단(35%), 비급여 의료비(15%), 치과진료(15%), 장례식장(20%) 등 의료비의 15~35%를 감면받게 됐다.

이 밖에도 삼육재단은 지난 9월 ‘희망의 1대1 결연 복지협약’을 맺어 1350가구에 쌀 10㎏과 두유 1상자씩을 지원하고 건강검진, 무료틀니, 집수리 등 38가구의 소원을 들어주기도 했다.

결연프로젝트가 공무원들과 복지사각지대 주민을 연결하는 것이라면 희망복지시스템은 이를 더 확대해 기업과 개인을 결연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유 구청장이 앞장선 결과 729개나 되는 민간단체와 2495명의 취약계층 간 복지결연이 이루어져 정기적으로 현금과 물품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유 구청장은 “주위를 둘러보면 온정의 손길을 기다리는 어려운 이웃들이 무척 많다.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 것처럼 작은 마음이 모여 도움의 손길을 보태 준다면 힘든 이웃들에게 희망이 끈이 될 것”이라면서 “미처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어르신들과 복지사각지대 주민의 복지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민·관 협력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2-11-22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