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30일 정부서울청사와 세종청사 간의 영상 국무회의가 새 정부 들어 처음 진행되고 있다. 서울청사 회의실에 참석한 류길재(가운데) 통일부 장관 등 국무위원들 뒤쪽 대형 모니터에 세종청사에서 회의를 주재한 정홍원 국무총리가 보인다.연합뉴스 |
이르면 8월부터 국회와 정부세종청사 간의 영상회의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해당 공무원들이 국회에 출석하고자 장시간 사무실을 비우고 차량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행정 비효율 관행이 상당 부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5일 국회사무처와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와 정부세종청사 간의 영상회의 시스템이 오는 8월 말까지 국회에 구축된다. 행정부 내에만 있던 영상회의가 입법부와 행정부 간에도 이뤄지는 것으로, 두 헌법기관 간의 업무 행태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국회사무처와 국무총리비서실장 산하 정무실은 최근 국회와 세종청사를 연결하는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협의한 상태다. 회의를 영상으로 진행할지, 대면으로 할지에 대해서는 회의 성격과 상임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의견을 고려해 결정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 등 세종시 이전부처 공무원들이 국회 출장이 너무 잦아 출장비가 많이 들고, 시간 낭비가 많다는 등의 비효율 지적이 이어지자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한 것이다.
기재위 영상회의 시스템은 상임위 회의장인 국회 본관 432호에 설치될 예정이다. 세종청사에는 66석 규모의 국무영상회의실과 45석의 정부 공용 영상회의실, 10석 내외의 부처별 영상회의실 등 6개의 영상회의실이 마련돼 있다.
영상회의 성패는 활용도에 달렸다. 세종시 이전에 따른 비효율 해소차원으로 국회 분원 설치 요구까지 나오는 상태에서 국회가 영상회의 시스템을 적절히 활용하면 이런 요구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