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벽길 다듬고 박물관까지… 하늘 밑 첫 ‘낭만시티’
장수마을은 하늘에서 신선이 내려와 노닐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성북구 삼선동에서도 가장 높은 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삼선동 1가 300번지 일대, 그러니까 한양도성 성곽 밑 비탈에 선 동네다. 성곽 너머로는 낙산공원, 아래쪽으로 삼선상상어린이공원이 둘러싸고 있다.|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은 한양도성 성곽 밑 비탈에 있어 개발이 더뎠지만, 2008년 주민들이 벽화 작업 등 마을 되살리기에 나서면서 서울의 명소가 돼 가고 있다. 조명을 밝힌 성곽을 배경으로 옛 정취를 물씬 풍기는 장수마을 전경. 성북구 제공 |
일제 강점기에 토막집, 판잣집이 들어서며 생겼다고 한다. 오랫동안 개발이 이뤄지지 않았다. 1960~1970년대에서 시간이 멈춘 분위기다. 구불구불 좁은 골목에 남아 있는 옛 정취는 외지인에겐 낭만일 수 있겠지만 마을 주민들에겐 열악한 주거 환경에 다름 아니었다. 2004년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됐으나 문화재보호구역으로 묶여 사업이 지지부진했다. 2008년부터 젊은 층이 뭉쳐 마을 되살리기에 나섰다. 벽화 작업을 하고 마을 학교와 잔치도 열고 빈집도 고치고 정든 이웃끼리 오래오래 함께 살자며 마을 이름도 정했다. 최근엔 서울시가 뉴타운·재개발 출구 전략으로 추진하는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지원받았다. 전면 철거가 아닌 리모델링 방식이라 전체적으로 크게 바뀌진 않았다. 외곽 길이 새로 포장되고, 경사가 심한 골목길에는 노인들이 잡고 오르내릴 수 있는 난간이 설치됐다. 주민들은 무엇보다 오매불망 고대하던 도시가스가 들어왔다는 점이 감격스럽다.
40년 넘게 동네에 살고 있는 우순자(73) 할머니 집 또한 명소다. 얼마 전 막을 내린 지상파 일일 드라마에서 주인공 남매의 집으로 등장했다. 드라마 팬들이 이 집을 찾아 마을에 들르기도 한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12-1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