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면 중시하는 ‘양반문화’도 영향
보고서는 “충청도 사람은 예의 바르고 꼿꼿하다. 특히 충청도에서 대대로 살아온 노인들은 아무리 힘들어도 아쉬운 소리를 못 한다. 그런 게 있어도 내색하지 않고 남이 알아서 해 주기를 바라 일하는 데 애를 먹는다”는 마을 이장의 말로 특유의 기질을 분석했다.
일부 연구 참가자가 ‘이는 우리 국민의 보편적 정서로 충청도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반박도 했지만 충청도 사람들이 이런 지역 정서가 유난히 강하다는 데는 큰 이견이 없었다.
충남은 2010년부터 2년 연속 국내에서 자살률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12년에도 세종 1위, 충북 2위, 충남 3위 등 충청 지역이 상위권을 모두 차지했다.
나머지 조사 내용은 전국적 현상과 비슷하다. 고령화에다 도시와의 경제력 차이가 극심한 농어촌의 자살률이 대체로 높다. 조사 대상 자살자 25명 중 68%인 17명이 60세 이상이다. 72%가 중졸 이하였고 대부분 종교나 취미 생활이 없었다. 외딴 집에서 마을 주민과 소통 없이 생활고, 질병, 외로움에 시달리던 이들이 많았다. 이런 스트레스를 농어촌에 만연한 음주 문화로 풀었고 도움을 줄 병원과 교통 등의 인프라는 열악했다.
자살은 농번기인 4~6월 자택에서, 목매기와 음독 등 손쉬운 방법으로 이뤄졌다. 내성적이고 정이 많은 사람이 자살을 많이 했다는 통계는 도시와 별 차이가 없었다. 도 관계자는 “자살 고위험군 주민 관리, 여가 프로그램 활성화, 마을공동체 강화 등의 정책에다 충청도 기질을 감안해 찾아가는 서비스에도 정성을 쏟겠다”고 말했다.
홍성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