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 희망드림단 312가구 발굴… 사각지대 찾기 성과
지난해 12월 아침. 희망드림단은 동 발굴조사팀의 제보를 받고 화곡동의 한 고시원으로 출동했다. 3평 남짓한 고시원에는 혼자 생활하는 김모(69)씨가 쓰러져 있었다. 알코올 중독으로 위독한 상태였다.희망드림단은 응급조치 후 곧장 김씨를 사례관리 대상자로 선정했다. 현황 조사와 심층 상담을 거쳐 곧바로 대책회의에 나섰다.
강서구는 지난해 1월부터 이웃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고자 동네 사정에 밝은 통·반장과 지역아동센터, 복지시설 등 각 분야 민간 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하는 ‘강서희망드림단’을 꾸렸다. 이들은 지금까지 312가구의 위기가구를 발굴했다.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이 1399건, 희망드림 콜서비스 5133건, 법률 홈닥터 상담 1483건 등의 성과를 올렸다. 복지 사각지대를 메우는 역할을 톡톡히 해낸 것이다. 사업시행 이전과 비교하면 월등히 많은 위기사례가 발굴됐을 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민간의 우수자원을 연계해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희망드림단뿐만 아니다. 구는 동 주민센터를 최일선 첨병 역할을 하는 복지센터로 변신시켰다. 취약·소외계층의 적극적인 발굴과 찾아가는 방문복지 시스템을 강화해 동 복지 행정역량을 집중시키기 위해서다. 먼저 틈새계층 등 복지수요자 발굴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초기 상담기능을 강화했다. 특히 위기가구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어려움을 관공서에 찾아가 도움을 청하기를 다소 꺼린다는 점을 감안, 지역사회의 음지를 직접 찾아가는 방문복지에도 신경을 썼다. 또 200여명의 희망드림 서포터즈가 위기 상황에 놓인 지역 홀몸 어르신과 방임 아동, 중증 장애인 등 돌봄 대상 100가구를 밀착관리하는 등 복지 공백을 메우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보탰다.
노현송 구청장은 “지금껏 규정과 법규를 앞세워 위기가구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진 않았는지 업무 처리과정을 철저히 검토하고 있다”면서 “경제적 어려움 탓에 스스로 삶을 포기하는 주민이 없도록 복지 그물망을 더욱 촘촘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4-03-27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