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어린이집 동별 2곳씩 확충
“보육 문제는 단순한 복지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입니다.”김기동 서울 광진구청장은 2일 “보육사업과 복지사각지대 지우기” 두 가지를 올해 중점 사업으로 꼽았다. 최근 발생한 어린이집 문제 때문에 보육사업을 바꾸겠다는 것이냐는 물음에는 고개를 가로저었다. 김 구청장은 “보육은 개인의 행복은 물론 나라의 미래를 위해서도 꼭 개선돼야 하는 부문”이라면서 “현재 1.19명까지 떨어진 출산율을 그대로 놔둬선 안 된다”고 힘주어 말했다.
|
김기동 서울 광진구청장 |
그는 특히 맞벌이 부부 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김 구청장은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집 한 칸 마련하기 어렵고, 그러다 보니 우리 지역의 젊은 부부 대다수가 맞벌이”라면서 “결국 출산율이 낮아진 것은 맞벌이 부부들이 아이를 낳고 기르기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 구청장은 구에 워킹맘 서포트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워킹맘 서포트센터는 이곳저곳에 분리된 보육지원 기능을 묶어 한번에 육아, 보건, 생활 등 다양한 보육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그는 “광진구가 보육 분야에 있어 서울의 모범이 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복지 사각지대를 지우는 작업도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1980년부터 36년째 공직을 수행하고 있는 김 구청장은 “제도만으로 복지사각지대를 지우기는 불가능하다”면서 “지역의 사정을 잘 알고 있는 통장들과 주민들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런 인식 때문일까. 구는 동네 사정을 잘 아는 통장을 활용해 복지통장제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15개 동 347명으로 구성된 복지통장들은 지역 구석구석에 스며들어 위기에 처한 주민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또 희망나눔팀을 통해 기초수급 등 공공기관의 지원이 불가능한 이들을 민간지원단체에 연결해 주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지역발전을 위한 준비도 착착 진행되고 있다. 김 구청장은 “현재 동서울터미널 현대화사업은 사업자가 교통 분야 등 주요 보완 사항을 검토 중에 있다”면서 “입지 특성에 맞는 사업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시와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5-02-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