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화 위해 간판·주차장 등 현대화 추진… 21일 기념 축하 행사 개최
상도시장은 1970년 후반에 생긴 골목형 시장이다. 지하철 7호선 및 버스정류장 등과 인접해 있고 숭실대 및 주택 밀집 지역과 가까워 잠재 고객층도 풍부하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3000명이다.
하지만 특성화된 상품이 없고 인근에 기업형 슈퍼마켓이 들어서는 바람에 시장이 침체됐다. 현재 73개 점포 중 7개가 비어 있다. 이에 따라 구와 상인들은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인정을 추진했다. 지난 5월부터 상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3개월 만에 전통시장으로 인정받았다.
전통시장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명시된 점포 수, 면적 등의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이 인정을 해 준다. 전통시장으로 인정되면 진열대 개선 등 시설 현대화 사업을 할 수 있다. 또 상인 역량 강화 교육 등의 경영 혁신 사업, 온누리상품권 발행 등도 가능해진다. 박홍규 상인연합회 회장은 “더 나은 시장을 만들겠다는 상인들의 마음이 모여 이뤄낸 결과”라며 “시설 현대화를 통해 주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시장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구는 개성 있는 간판을 만든다. 또 상품 진열대의 규격을 통일하고 디자인을 개선한다. 시장 바닥에 물건을 진열해 소비자가 통행하기에 불편하다는 지적 때문이다. 주차장, 아케이드, 쉼터, 배송센터 등을 설치하고 비어 있는 점포에는 청년몰을 들이는 등 청년 상인 육성에 나선다. 이창우 구청장은 “향후 특색 있고 찾고 싶은 시장이 될 수 있도록 시장 상인들과 힘을 모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