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상가 분양가·임대료 전국 최고가 육박… 거품 논란
공공기관 입주가 시작된 혁신도시의 상가 분양가와 임대료가 전국 최고가에 육박, 거품 논란이 일고 있다.
|
원주혁신도시의 투기 열풍이 가장 거세다. 상권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지만 임대료와 분양가는 서울 중심가를 뺨칠 정도다. 상업용지 69필지 가운데 20여개 필지에서 상가 건축이 완료된 이 지역 상가 빌딩 분양가는 1층이 3.3㎡당 2800만~3000만원, 일부는 4000만원 선이다. 월 임대료는 1칸 66㎡ 기준 350만~500만원을 호가한다. 3.3㎡당 최고 25만원 선이다. 부동산 전문기관 발표 기준 국내 최대 상권인 서울 명동의 3.3㎡당 임대료 27만 4000원에 육박한다. 보증금 차이가 있다 해도 신사동(16만 2964원), 압구정(16만 663원), 홍대 입구(12만 2656원), 강남(11만 3442원) 등 서울 대표 상권 임대료를 웃돈다. 높은 가격에도 선점 효과를 위한 좋은 자리 찾기 경쟁은 치열하다. 개점을 앞둔 A은행은 최근 상가빌딩 2층 260㎡를 보증금 10억원, 월 임대료 910만원에 임대했고 이달 초 문을 연 B은행도 1층 50㎡와 2층 416㎡를 보증금 10억원, 월 800만원에 임대했다.
높은 임대료와 분양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아직 조성되지 않은 상권에 대한 환상으로 돈이 몰린다”며 신중한 투자를 권했다. 충북혁신도시의 한 부동산 업자는 “임대료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10만~20만원 떨어진 상가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북혁신도시 상가 공실률은 80%에 이른다. 공공기관들이 완전히 입주하지 않았고, 이전 기관 임직원들이 주말에는 모두 수도권으로 빠져나가 장사가 잘되지 않아서다. 전북혁신도시에서 부동산 개발사업을 하는 이모씨는 “혁신도시 상권이 자리를 잡으려면 적어도 3~5년, 길게는 10년 정도 있어야 하는데 상가 분양가가 터무니없이 높아 공실률이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원주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