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수돗물 8억t 자취 없이 사라져
|
4일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상수관로 누수량은 80억t으로 전국 평균 누수율이 10.7%에 달했다. 이로 인한 손실액이 연간 5222억원으로 추산됐다.
도농 간 누수율 격차도 심각하다. 특별시·광역시는 5.1%인 데 비해 일반 시·군은 14.9%로 3배 정도 높다. 상수관로 노후화가 원인으로 상수관망 정비 사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013년 기준 전국 상수관로(18만 688㎞) 가운데 30.6%인 5만 5312㎞가 20년 이상 된 노후 관로지만 연간 개량 비율은 1%(1800㎞)에 불과하다. 조기 개량이 이뤄지지 않으면 2020년 26조 2000억원(6만 8144㎞), 2030년 51조 8000억원으로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환경공단이 2009년 가뭄으로 80일간 제한 급수 고통을 겪었던 강원 남부권의 상수관망 정비 1차 사업(영월·정선)을 분석한 결과 성과가 뚜렷했다. 노후관 정비로 줄인 누수량이 영월 860만t, 정선 1680만t 등 모두 2540만t에 달했다. 인구 5만명의 도시에 상수도를 공급하는 효과다. 2011년 각각 33.4%, 34.8%이던 유수율이 사업이 완료된 8월 현재 92.1%와 90.4%로 향상됐다. 유수율은 정수장에서 공급한 수돗물 중 실제로 사용해 요금이 징수되는 수량의 비율이다.
또 누수량 감소에 따라 두 지역의 수돗물 생산 비용 절감액이 124억원, 수도 요금 누적 증가액이 66억원으로 집계됐다. 내년에는 태백과 평창, 고성의 노후 상수관 사업이 마무리된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11-0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