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가 말하는 ‘공유적 시장경제’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지난 1월 시장·군수 신년인사회에서 공유적 시장경제를 처음 공식 언급했다.지난달 14일 부천시 한국만화영상진흥원 5층 세미나실에서 남경필(왼쪽 아홉 번째) 경기도지사와 김만수(열 번째) 부천시장이 ‘경기도·부천시 공유적 시장경제 확산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그는 “공유적 시장경제는 모든 것을 열고 함께 공유하는 오픈플랫폼이다. 양극화와 사회적 불평등이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도내 중소기업, 소상공인, 스타트업이 대기업과 경쟁하고 세계로 진출할 수 있도록 오픈플랫폼이란 ‘키높이 구두’를 선사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키높이 구두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갖지 못한 브랜드, 마케팅 능력, 물류단지, 간편결제, 수수료 없는 온·오프라인 마켓을 넣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후에도 남 지사는 가는 곳마다 공유적 시장경제 도입의 필요성을 설파했다.
그는 “대한민국의 4분의1을 차지하는 경기도가 먼저 변화해야 한다”면서 “변화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데 그게 바로 오픈플랫폼이자 공유적 시장경제”라고 강조했다.
사실 공유적 시장경제는 경제 사전에는 없는 용어로, 남 지사를 보좌하는 대학교수와 브랜드 마케팅 전문가들이 모여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에서 보편적으로 쓰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와 개념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공유경제는 하버드대 로스쿨 로런스 레시그 교수가 처음 사용했는데,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으로 정의했다.
남 지사가 도정의 키워드로 제시한 공유적 시장경제는 공유경제의 단순한 협업 소비를 뛰어넘는 것으로, 공공 인프라를 지자체가 구축하고 스타트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이 이를 적극 활용해 상생의 경제를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남 지사는 “한국 경제를 축구에 비유할 때 첨단기업과 중소기업 등이 미드필더인데, 공유적 시장경제가 바로 이 미드필더들을 강하게 만들려는 것이다. 판교테크노밸리 같은 첨단 업종 중심의 산업단지를 곳곳에 조성하고,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와 같은 창업 인프라를 구축하는 동시에 ‘경기도주식회사’를 만들어 많은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