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복지 1번지’ 중랑구
“과거의 동 단위 행정이 주로 방문하는 주민의 민원을 처리하는 데 집중했었다면 오늘날에는 지원이 필요한 사람을 발굴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동적인 형태로 변화했습니다. 발품을 파는 행정 서비스가 중요해지는 이유죠.”류경기 서울 중랑구청장이 지난 13일 ‘일일 복지플래너’로 나섰다. 류 구청장은 이날 약 한 시간에 걸쳐 면목동 일대의 저소득층 가구 3곳을 방문해 세탁물을 배달하고 주민들이 나눈 빵과 음료수를 전달하는 역할을 자처했다.
류 구청장은 우선 ‘찾아가는 우리동네 세탁소’ 협력업체인 인근의 한 세탁소를 찾아 깨끗하게 세탁이 완료된 이불빨래를 수거했다. 중랑구의 찾아가는 우리동네 세탁소 사업은 저소득가구의 침구류를 직접 거둬 가 세탁한 뒤 배달해 주는 복지서비스다. 침구류는 부피가 커 가정에서 세탁이 어려운 데다 저소득가구는 비용 부담으로 세탁소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그대로 방치하다 위생·건강문제로 이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빨래가 필요한 가구를 방문복지사가 발굴하면 동네 세탁소의 협조로 이불을 수거해 세탁 후 배달까지 지원한다.
당초 지역 일부 동에서 자체적인 특화사업으로 진행하다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전 동으로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최근 ‘2019년 서울시 시민참여예산 사업’에 공모해 선정되면서 예산 2700만원도 확보했다. 중랑구는 동마다 세탁소 1~2곳을 복지세탁소로 선정해 50가구에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협약을 맺은 동네 세탁소를 향후 지역 복지네트워크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어 류 구청장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가게에서 판매하는 물품 등을 기부하는 복지사업인 ‘우리동네 나눔이웃·나눔가게’ 참여 빵집에 들러서 빵과 음료수도 전달받았다. 류 구청장이 전달한 물품 꾸러미를 양손 가득 들고 방문하자 박모(82) 할머니는 “허리가 아파 이불빨래는 꿈도 못 꿔서 그동안 큰맘 먹고 세탁소에 맡겼는데 이렇게 직접 세탁해 집까지 가져다주니 몸 둘 바를 모르겠다”면서 활짝 웃었다.
류 구청장은 “결국 공공의 복지도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로 완성된다는 것을 절감한다”면서 미소 지었다. 이어 “자신의 것을 나누려는 주민과 지원이 필요한 주민 사이를 매개하는 게 행정의 역할”이라면서 “앞으로도 주민들의 온기로 따뜻해지는 복지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