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은 자치구 장소중심형 공간정책을 기획·실현하기 위해 지난 해 128명을 시작으로 올해 245명의 마을건축가를 운영하고 있다. 마을건축가들이 자치구 주민 면담과 현안사항 검토를 통해 현장을 진단해 공간을 발굴하고 개선사항을 기획해 마을단위 중장기 공간환경 전략 계획인 마을지도를 만든다.
장상기 의원은 양천구 4명, 강서구 7명, 광진구 14명 등 자치구별로 마을건축가 위촉 인원의 편차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서울시는 자치구별로 인구가 12만명에서 66만명까지 천차만별이고 도심권과 외곽의 공간 성격도 다른데, 이에 대한 고려 없이 마을건축가를 위촉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을건축가가 현장 소통을 통해 작성한 마을지도는 상위 법정계획과 연계해 서울 전체의 공간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자치구별 마을건축가 인원 산정에 합리적인 기준이 없다면 이는 지역불균형의 또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이다.
장 의원은 또한 “최근 발간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백서>를 보면, 모두 강남구의 동주민센터를 소개하는 내용이고 강남구청장의 인사말씀까지 포함하고 있다”며 “이런 백서를 만들어서 각 자치구에 배포하는 것은 강남북 불균형을 해소한다고 하면서 재정이 열악한 자치구의 소외감만 키우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라고 질타했다.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상을 받으며 영화 속에 나온 반지하주택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 후 LH와 SH가 반지하주택을 주민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하보도는 반지하주택에 비해 규모가 큰 만큼 더 활용의 폭도 넓다는 것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