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샘 당직 반복… 수도권 근무 희망
전체 7명 중 3명이 사직·사의·병가
대학병원 전공의 지원도 2년째 ‘0’
순천향대천안병원은 지난 2016년부터 보건복지부 제1호로 지정돼 365일 24시간 운영하는 ‘소아전문응급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하지만 전문의 부족으로 진료에 차질을 빚고 있다.
최근 소아전문응급센터 입구에 4일 오전 8시부터 6일 오전 8시까지 7살 미만 환자는 진료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붙었다. 진료할 전문의가 부족했었기 때문이었다. 전체 7명의 전문의 가운데 1명이 지난달 사직했고, 1명은 병가 중이다. 1명도 사직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남아 있는 전문의들은 밤샘 당직근무가 자주 돌아와 어려움을 호소한다.
소아청소년과 관련 전문의 대부분 처우 조건과 교육·생활 등의 여건이 좋은 서울 등 수도권 지역 병원에서 근무하는 것을 희망한다고 한다. 지역 병원에서 근무하는 게 더 힘들지만, 보상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이유에서다.
게다가 어린이는 성인보다 진료가 까다롭지만, 진료비가 낮은데다 소송 위험성이 높아져 갈수록 전문의가 줄고 있다. 병원에서 근무할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전국적으로 감소하면서, 수도권 외 지역에서 구인난은 더 심각해지고 있다. 충남의 상급병원인 단국대병원과 순천향대천안병원은 2년째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를 선발하지 못하고 있다. 양 대학병원 지원자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한명도 없었다.
천안 이종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