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받아들이고 있고,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가 지난 8월 7일부터 11일까지 만 18세 이상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9%가 기후위기를 ‘심각하다’(매우 심각 56%)고 답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적극 대응 필요성에 대해서는 90%(매우 필요하다 65%)가 공감했다.
구체적 정책별로는 ‘기후행동 기회소득’이 80%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고 ▲경기RE100(78%) ▲기후보험(74%) ▲기후펀드(72%) ▲기후위성(67%) 순이었다.
전국 확산을 희망하는 정책으로는 경기RE100(26%)이 1위를 차지했고 ▲기후행동 기회소득(21%) ▲기후보험(14%) ▲기후펀드(12%) ▲기후위성(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정책은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도입했거나 추진 중인 사업이다.
도민 절반(50%)은 경기도 기후정책이 중앙정부나 다른 지자체와 차별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최근 청정대기 국제포럼에서 “경기도는 공공부문 RE100, 기후행동 기회소득, 기후보험 등 전국 최초의 기후정책을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기후위성, 기후펀드 등 경기도 선도정책의 경험과 데이터를 중앙정부와 국제사회에 나누면서 세계의 기후행동을 이끌겠다”고 밝힌 바 있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도민들의 높은 위기의식과 정책적 요구를 확인했다”며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추진해 온 기후위기 대응 정책들이 중앙정부 기후정책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안승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