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AI-레디’ 기준 첫 도입
앞으로 정부 공공데이터가 사람뿐 아니라 인공지능(AI)도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뀐다.행정안전부는 18일 공공데이터에 ‘AI-레디(Ready)’ 개념을 처음 도입하고 세부 기준과 관리 체계를 마련한다고 밝혔다. AI-레디 데이터는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AI가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가공된 고품질 데이터다. 미국·영국 등 해외에서도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지금까지 공공데이터는 AI가 다루기 어려운 형식으로 제공되거나 갱신 주기·요약 통계 같은 기본 정보가 부족해 활용도가 떨어졌다. 기관마다 주소·행정코드 표기가 달라 연계가 어렵고, 오류·누락으로 인해 사용자가 추가 비용을 들여 가공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앞으로는 AI 친화적인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작성자·갱신 주기·변경 이력 등 풍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붙인다. 주소·행정코드 같은 식별 값에는 표준코드를 적용해 혼동을 줄이고, 품질 기준도 마련해 AI 서비스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인다. 행안부는 전문가 중심의 실무단을 구성해 ‘AI-레디 공공데이터’ 세부 기준과 관리 지침을 연내 마련하고, 공공데이터포털에 공개된 자료 중 AI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부터 적용을 시작해 점차 모든 공공기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데이터는 AI 경쟁력의 원천”이라며 “정부는 AI가 활용하기 좋은 고품질 공공데이터를 풍부하게 개방해 혁신적 서비스 창출과 산업 경쟁력 제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세종 한지은 기자
2025-09-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