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 저소득 37개국 128명, 4주간, mRNA 백신 생산공정 등 3개과정 실시 -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는 11월 3일(월)부터 4주간 세계보건기구(WHO)와 함께 중 저소득국 백신 생산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의 '백신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실습교육'3개 과정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대한민국을「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지정('22.2월), (영문명칭) Global Training Hub for Biomanufacturing(약칭: GTH-B)
이번 실습 교육은 지난 8월에 실시한 세포기반 백신 배양공정 실습교육에 이은 교육으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및 항체의약품 생산공정 실습,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실습 등 총 세 개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항체의약품 생산공정 실습은 올해 새롭게 실시하는 교육과정으로 WHO 등 국제적 수요 및 실습에 대한 교육생들의 지속적 선호를 반영하여 개설되었다.
이번 교육에는 보건복지부와 WHO가 교육생 선발위원회를 통해 선발한 전 세계 중·저소득 37개국 128명이 참여할 예정이며, 교육생들은 대부분 백신 바이오의약품 공 사기업체, 관련 연구소 등 재직자로 구성되었다. 참여 교육생 수는 교육과정 신설, 관심도 증가 등에 따라 2024년 27개국 59명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실습교육(11.3.~11.28.) 교육생 선발현황】

* 총(128명) 가나(2), 나이지리아(2), 남수단(1) 르완다(6), 말라위(1), 말레이시아(3), 멕시코(1), 몽골리아(2), 방글라데시(5), 베트남(1), 보츠와나(3), 볼리비아(1), 부룬디(1), 브라질(1), 세르비아(2), 스리랑카(1), 아르헨티나(1), 요르단(2), 에티오피아(3), 우간다(2), 우즈베키스탄(17), 이란(2), 인도네시아(4), 이집트(7), 조지아(2), 짐바브웨(2), 카자흐스탄(10), 콜롬비아(1), 키르기스스탄(1), 탄자니아(4), 튀니지(3), 튀르키예(1), 태국(1), 파키스탄(22), 팔레스타인(2), 페루(2), 필리핀(6)
교육은 (재)글로벌바이오인력양성허브 지원재단이 총괄 주관하고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인천 송도)의 네트워크 캠퍼스로 지정되어 있는 교육기관들이 참여한다. 연세대학교 K-NIBRT 사업단이 mRNA 백신 생산공정 실습, 서울대학교(SNU) 제약바이오인력양성센터와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Bio)이 항체의약품 생산공정 실습, 화순 생물의약연구센터에서 GMP 실습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GBC) : 인천 송도에 위치한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의 전용교육시설로 백신 바이오의약품 기초 이론 및 실습, 온라인교육, 5개 네트워크 캠퍼스 연계 실습교육 등을 종합적으로 운영
* 연세대학교 K-NIBRT 사업단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 위치한 바이오의약품 분야 핵심인력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복지부 및 산업부 지원을 받아 연세대, 인천시, 인천테크노파크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 추진 중
* SNU 제약바이오인력양성센터 : SNU 제약바이오인력양성센터는 경기도·시흥시·서울대학교가 컨소시엄으로 운영하는 재직자 우선 지원 기관으로 제약·바이오 전주기 교육을 통해 국가첨단전략산업단지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
*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바이오의약품·첨단의료기기 개발·제품화를 통해 의료산업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며, 집단의료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을 목표
* 화순 생물의약연구센터 : 화순 생물의약연구센터는 전남바이오진흥원 소속기관으로 화순 백신산업특구 내 위치하고 있으며 의약품 원액생산 및 비임상, 임상시료생산 완제라인을 구축하고 생물의약품 개발 및 산업화를 지원
실습 교육 내용은 ▲세포 배양, ▲리보핵산(RNA) 및 단백질 합성 정제, ▲충전 및 품질관리, ▲GMP 적용 생산공정 생산시설 가상현실(VR) 경험 등을 포함한다. 교육생들은 실제 제조환경에서 첨단 설비를 활용한 백신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품질관리, 생물안전(Bio-safety) 준수 등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실질적인 백신생산 역량을 크게 키울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실습교육을 마친 교육생들은 자국에 복귀 후 한국에서 배운 기술을 적용 전파함으로써 자국의 백신 자급력 향상에 기여함과 함께 바이오헬스 산업 정책 수립, 연구 개발 투자 등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의 교육은 이번 실습교육을 끝으로 마무리되며, 2026년에는 기존 이론 실습 교육과 함께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GBC)의 신축 실습교육장 등을 활용한 실습과정, 강사양성과정 등 더욱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국제적으로 약속한 연간 2,000명 규모의 국제 수준 실무형 인재를 배출할 계획이다.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는 WHO와 협력을 통해 중 저소득국의 실질적 백신 생산 역량을 향상시킬 실습교육을 올해부터 더욱 확대 운영한다"라면서, "정부는 내년에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 수요에 기반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바이오 인력양성의 리더 국가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교육 성과 및 계획
2. 백신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실습교육 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