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경산시에 따르면 지난 2002년 4942가구가 공급된 것을 비롯, 최근 3년간 모두 8549가구의 아파트가 공급됐다. 내년 상반기에도 1702가구가 입주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 시의 전체 인구는 지난 2003년 말 기준 21만 9591명보다 1만 5000여명이 늘어난 23만 5000여명으로 추산된다.
여기다 13개 대학과 1600여개의 중소업체들이 몰려 대구 등 인근지역을 오가는 하루 유동인구가 15만명에 이르는 등 날로 인구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쓰레기매립장과 분뇨처리장 등 환경 인프라 확충은 수년째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1997년부터 남산면 남곡리 일원에 추진 중인 대규모 쓰레기매립장 조성사업은 현재 공정 25% 상태로 지지부진하다.
이 때문에 시는 15개 전체 읍·면·동지역에서 하루 배출되는 178t의 쓰레기 처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중 120여t은 자체,50여t은 위탁 처리하고 있으나 제때 처리되지 않은 쓰레기로 시내 곳곳에서 악취가 풍겨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내년 9월말 완공 예정인 쓰레기매립장 조성사업도 장마철과 동절기 공사 중지 등을 감안할 때 공기 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분뇨 및 축산폐수의 병합처리를 위한 분뇨처리장 개선사업도 소걸음을 하고 있다.
시는 당초 지난 2월 말까지 시내 대평동에 자리한 분뇨처리장에 총 사업비 107억원을 들여 시설 확충(1일 처리능력 80㎘→250㎘) 및 악취발생 개선사업을 완료할 예정이었으나, 아직까지 사업자 선정문제 등으로 인해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때문에 하루 분뇨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 및 축산폐수 180㎘를 1차 처리만 한 뒤 인근 하수처리장에서 최종 처리하는 바람에 주민들이 악취에 시달리고 있다.
경산시 관계자는 “도시팽창 속도를 환경시설 확충이 따르지 못해 어려움이 많다.”면서 “이들 사업의 공정을 최대한 앞당겨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산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