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중앙연안관리심의회를 열어 송도국제도시 제11공구 공유수면 10.2㎢를 매립기본계획에 반영키로 했다.
송도 제11공구는 주변 5·7공구와 연계해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을 기반으로 한 정보기술(IT), 생명공학(BT) 산업 중심의 첨단 산업클러스터로 개발할 예정이다. 송도 5·7공구는 연세대 송도캠퍼스와 해외 유명대학, 연구기관들이 입주하게 된다.
인천경제청은 2022년 개발이 완료될 송도 11공구의 경우 고용창출을 비롯해 총 97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11공구 내에 3.4㎢ 규모의 야생조류 대체 서식지를 조성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라 세부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그러나 인천지역 환경단체들은 갯벌과 습지의 보전가치를 전혀 고려치 않은 처사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