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중구 예장동에 위치한 와룡묘는 제갈공명을 받드는 사당이다. 서울시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된 이 사당에서는 해마다 음력 6월24일이면 제사를 지내고, 평상시에도 신도들이 치성을 드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중구 방산동 성제묘(서울시 유형문화재 제7호)와 장충동 관성묘는 관우를 모시기 위해 세워진 사당이다. 이중 성제묘는 민간인에 의해 지어져 지금도 마을 토박이들이 매년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인왕산 서쪽 자락 선바위 아래에 자리잡은 국사당(중요 민속자료 제28호)은 민간신앙을 믿는 신도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다.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 등을 모신 국가사당인 국사당은 당초 남산 팔각정 자리에 있었으나, 일제시대 때 조선신궁이 지어지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초기에는 이곳에서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다 오늘날에는 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비는 형태로 바뀌었다.
서울시내에는 종묘와 같은 국가사당 외에 용산구 서빙고동 부군당(서울시 민속자료 제2호)과 종로구 평창동 보현산신각(서울시 민속자료 제3호) 등 민간사당도 곳곳에 남아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0-06-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