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전략정비구역은 지난해 1월 한강공공성 회복선언 이후 같은 해 4월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됐다. 또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공관리제 시범지구로 지정, 불과 2개월여 만인 지난해 10월27일 추진위원회 승인을 마쳤다.
주민설명회는 성동구와 서울시가 심혈을 기울여 수립한 성수전략정비구역의 정비계획을 중심으로 환경(Eco), 문화(Culture), 수변(Aqua)이라는 주제로 제1종지구단위계획결정 및 정비구역지정을 위한 정비계획, 공공관리제도의 이해, 감정평가 방법, 향후 개발일정 순으로 이어진다.
정비계획 중 토지이용계획은 서울숲과 뚝섬유원지를 연결하는 생태녹지축을 회복하고, 공연·전시 등 문화가 복합된 수변 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문화중심축 구축에 맞췄다.
강변북로를 지하화해 대규모 문화공원, 바람과 하늘이 열리는 수변경관축을 조성하고 다양한 형태의디자인이 특화된 건축물을 배치하는 방안도 들어 있다. 주택단지는 2종에서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바꿔 노후 불량주택 밀집지역에 최고 50층, 평균 30층 건물을 배치해 한강변의 다양한 스카이라인을 연출하도록 했다.
평균 상한 용적률을 283%(주택규모 60㎡ 이하 소형주택 건립시 기준용적률 20% 추가 상향 가능)를 적용, 주택 7900가구가 들어서게 된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