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자·저소득층에 인문학 강의 자기성찰 계기마련 자신감 심어
‘인문학이 밥 먹여주느냐.’는 게 21세기 한국의 대학 진학자나 학부모 생각이다. 하지만 노숙자와 도시빈민들에게 철학과 역사, 문학, 예술은 자기 성찰의 도구가 됐다. 말라죽어 가던 인문학이 가장 낮은 계층에서 희망의 싹을 틔우고 있다.서울시가 2008년 시작한 ‘희망의 인문학 과정’ 원조는 관악일터나눔지역자활센터에서 2006년 시작한 ‘관악인문대학’이다. 관악구도 1995년 미국 얼 쇼리스가 소외계층을 위해 개설한 인문학 강좌 ‘클레먼트(Clemente)코스’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샌프란시스코의 ‘클레먼트 코스’를 눈여겨 본 문학평론가 최준영 교수가 센터에 귀띔했고, 우기동 경희대 철학과 교수가 합세한 덕분이었다.
당시 ‘관악인문대학’의 관리 및 육성은 김은경(43) 관악구 복지정책과 주임의 몫이었다. 김 주임은 2006~2008년 자활지원과에서 일하며 인문대학이 튼튼하게 뿌리내리도록 힘썼다. 김 주임은 “당시 우 교수 등이 철학, 역사, 문학 등 5개 부문에서 12회씩 연간 60회 진행했다.”며 “당시 저소득층 20명을 위한 소강의였는데, 참석률이 저조해 어려웠던 기억도 있다.”고 회상했다. 또 “기초교육이 부족한 도시빈민들은 ‘내 삶을 내 스스로 책임지겠다.’는 자의식이나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기 어려웠다. 그러나 강의가 진행될수록 자포자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근로의지가 있지만, 경쟁력이 떨어져 일을 찾지 못하는 이들에게 자신감을 안긴 것은 엄청난 자원”이라고 덧붙였다.
수강생 김모(47)씨는 “처음엔 딱딱한 수업이라고 생각해 낯설었지만 가까이에서 겪는 일들을 통한 쉬운 설명 덕에 일상적인 학문이라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현재 관악구는 성공회대, 경희대, 동국대 등과 연계한 인문학 교육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청소년 인문학강좌도 구청 단위에서 처음으로 개설했다. 서울시는 성동· 강북·노원·광진·용산·서대문 등 16개 자치구의 희망 인문학 강좌를 지원한다.
유종필 구청장은 “4개월 동안 진행되는 희망의 인문학 과정을 통해 인생의 가치와 목표를 재설정하고 자신이 변화돼 있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