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양천구·부천시 3개 지자체 의견 모아
김포국제공항으로 인한 고도제한을 완화하기 위해 강서·양천구와 경기 부천시가 하나로 뭉쳤다.| 노현송(가운데) 강서구청장, 이제학(오른쪽) 양천구청장, 김만수 부천시장이 24일 부천시청에서 ‘김포국제공항 주변지역 고도제한 완화’를 위한 업무협약서에 서명한 뒤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
노현송 강서구청장, 이제학 양천구청장, 김만수 부천시장은 24일 부천시청에서 ‘김포국제공항 주변지역 고도제한 완화’를 위한 업무협약서에 서명하고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34년째 김포공항 주변 고도제한으로 각종 도심재생사업이 차질을 빚고 주민 재산권 행사도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것에 따른 것이다. 고도제한으로 인한 피해는 3곳을 합쳐 면적 610만㎡에 5만 2000가구, 100만여명으로 파악됐다. 특히 강서지역은 고도제한이 강화된 1977년부터 면적 411만㎡의 97.3%에 이르는 403만㎡가 공항 고도지구과 공항시설 보호지구로 지정돼 지역발전에 손발이 꽁꽁 묶여 있다. 3곳 단체장들은 공항 주변지역의 비행안전영향평가 기준과 절차 등을 점검, 고도제한완화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이 결과를 국토해양부와 서울지방항공청에 전달하고 획일적인 고도제한 규제가 아니라 지역과 현실에 맞게 완화하도록 강력하게 건의할 계획이다. 이들은 비행안전영향평가 기준과 절차를 위한 용역비용을 고도제한 면적에 따라 강서구가 58.4%, 양천구가 7.4%, 부천시가 34.1%로 분담하기로 약속했다. 협약은 또 민간협의체 구성과 전문가 자문, 각종 정보 공유, 분기별 정례회의 개최 등의 내용도 담고 있다. 연구용역이 끝나는 내년 11월 국제포럼과 주민 공청회 등을 통해 획일적인 고도제한의 불합리성을 알릴 방침이다.
이 양천구청장도 “김포공항의 국제선 증편 등으로 주민들이 고질적인 항공기 소음과 고도제한 피해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장기적으로는 김포공항을 인천국제공항으로 옮기고, 단기적으로는 고도제한 완화와 소음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0-08-2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