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장 출신… 자부심 물씬
유 구청장은 지난달 30일 구청장실에서 관악의 도서관 사업과 관련해 “인류 최초의 도서관인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시작으로 역사 시대 이래 도서관은 인류 지성과 지식의 보물창고였고, 사서(司書)는 당대 최고의 지성인들의 몫”이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미국의 독립선언문 기초위원이자 제3대 대통령이었던 토머스 제퍼슨이나 중국의 혁명가 마오쩌둥, 도가의 원조 노자, 조선 후기에 규장각의 금서관을 역임한 다산 정약용, ‘발해고’를 쓴 유득공, 실학자 박제가 등 당대 최고의 지식인들이 모두 사서였다.”고 덧붙였다.
국회도서관장을 역임한 자부심을 한껏 드러냈다. 동서를 막론하고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시키고자 노력한 사람들이 바로 ‘사서’였고, 사서는 책상물림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을 정리해 지난 3월 펴낸 ‘세계 도서관 기행’은 올 11월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됐다. 러시아와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를 포함해 9개 나라 40여곳의 도서관 등을 직접 돌아보고 쓴 책이다.
이를 통해 유 구청장은 가장 좋은 도서관은 ‘내 곁에 있는 가까운 도서관’이라는 신념을 갖게 됐다. 그래서 올가을 추가경정예산에 11억원을, 내년 예산에 39억원 등 모두 50억원을 편성했다. 부자 동네도 가난한 동네도 “걸어서 딱 10분 거리에 많은 도서관을 설치하겠다.”는 각오를 더욱 다지고 있다.
구청장 취임 후 6개월째다. 그는 구 행정에 대해 ‘좁쌀영감’처럼 시시콜콜 따지지 않는다. 그는 “모르긴 몰라도 25개 구청장 중 국장, 과장에게 가장 자율과 책임을 주는 구청장”이라며 “큰 방향만 제시하고, 구체적인 행정은 부구청장이 사인하면, 나도 사인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무원이 책임지고 하는 방식이 좋고, 32명의 과장이 수십명의 부하직원을 두고 하는 일을 일일이 내가 알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사 오는 관악구 만들겠다”
유 구청장은 “공무원들이 자신들 스스로 영혼이 없는 사람이라고 하지만, 그들은 사실 기관장의 영혼을 가지고 일한다.”면서 “우리 구청 32명의 과장과 21명의 동장, 보건소장을 포함해 7명의 국장을 믿고 일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공무원을 믿고 일을 맡긴다는 소문이 돌자 “과장들끼리 모여서 청장님이 우리를 믿으니까 더 열심히 일하자고 결의를 했더라.”는 이야기도 있다고 했다.
관악구는 지난달 18일 지식경제부로부터 ‘관악 에듀밸리 교육특구’로 지정받아 2014년까지 234억원(국비 38억원, 시비 79억원, 구비 117억원) 규모의 사업을 하게 된다.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학·관협력을 통해 관악특별구로 새로 태어나겠다는 것이다.
유 구청장은 “관악이 명색이 서울대가 있는 구인데, 대학진학 문제로 이사를 떠나는 이유가 1등이다. 도서관특별구와 함께 교육특구를 통해 ‘이사 오는 관악’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