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초 비자문제로 복귀했던 北근로자 25명 최근 돌아와
북한 개성공단이 폐쇄 직전에 놓인 것과는 달리 인천시가 남북 교류 차원에서 중국 단둥(丹東)시에 설립한 축구화 공장은 폐쇄 위기에서 벗어나 정상화된 것으로 나타났다.9일 인천시에 따르면 공장에서 일하던 북한 근로자 25명은 비자 연장을 겸한 동절기 휴가차 지난 1월 초 북한으로 복귀했으나 최근 전원이 단둥 공장으로 돌아왔다. 북한 근로자들이 돌아간 뒤 인천 지역에서는 ‘공장 폐쇄론’이 제기됐다. 북한이 3차 핵실험을 단행한 이후 정전협정 파기, 개성공단 폐쇄 선언 등 한반도 긴장이 가속화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북한 근로자들이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지만 우리는 그렇게 판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축구화 공장 정상화를 위해 지난달 김교흥 정무부시장을 중국에 급파했다. 김 부시장은 단둥시 관계자 등을 만나 남북 관계 악화와 북 핵실험에 따른 북·중 관계 악화로 까다로워진 북한 근로자 비자 발급 절차를 간소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중국은 북한 3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 조치가 강화된 데다 중국 내에서도 북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형성되면서 단둥 축구화 공장에 오려는 북한 근로자에 대한 취업비자 발급에 신중한 태도를 취해 왔다.
인천시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남북 교류 사업 가운데 하나로 2011년 11월 시민구단인 인천 유나이티드 프로축구단을 통해 자본금 5억원을 들여 단둥시에 수제 축구화 공장을 설립했다. 시는 남측 자본과 기술력, 북측의 노동력이 결합된 ‘제2의 개성공단’을 만드는 방식의 남북 경협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공장 운영 첫해인 지난해에는 1만여 켤레의 축구화가 생산돼 중국 등으로 수출됐다. 이 공장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들에게는 개성공단보다 많은 월 200달러가량의 보수가 지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