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5년만에 생태지도 정비…“도시계획·생태 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중랑 망우로 1600m 구간 지중화 ‘혁신’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화려한 레이저·미러 기술… 노원 ‘경춘철교 음악분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주민과 함께’… 민관협치 확산 나선 구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처리기는 뚱뚱해도 쓰레기는 홀~쭉하다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성북, 음식물 쓰레기 퇴비로 바꾸는 처리기 도입

전국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본격 시행된 가운데 3일 오전 10시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의 한 아파트 단지를 찾았다.

성북구가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종량과 감량 기능을 한꺼번에 갖춘 명품 RFID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를 도입했다.성북구 제공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선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무선주파수인식(RFID)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둔탁하고 커다란 현금 출납기 같이 생긴 기기 3대가 동과 동 사이에 놓여진 게 눈에 띄었다. 가까이 다가가서 설명서를 읽어보지 않으면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라는 사실을 눈치채기가 쉽지 않아 보였다. 음식물 쓰레기 특유의 시큼하고 불쾌한 냄새도 그다지 풍기지 않았다. 세대별로 지급된 카드를 기기 화면에 갖다 대자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와 함께 뚜껑이 열렸다. 음식물 쓰레기를 상자에 붓고 파란색 단추를 누르자 곧 뚜껑이 닫히더니 전자저울로 측정된 무게와 청구 비용이 화면에 떴다. 주민들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통해 각자 누적 배출량과 비용을 확인하며 다이어트하듯 관리할 수 있다고 한다.

여기까지라면 다른 지자체에서 도입한 RFID 수거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성북구 RFID 수거기에는 특별한 재능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양을 줄이는 기능이다. 발효와 건조를 반복하며 즉석에서 처리한다. 음식물 쓰레기 100㎏을 넣으면 16㎏ 정도가 흑색 가루 형태의 건조물로 배출된다는 것. 부산물은 퇴비나 바이오매스 연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가 자원으로 완벽하게 재생되는 셈이다.

시범 사업을 해봤더니 지난해 1년 동안 아파트 단지 1곳(403가구)에서 모두 102.2t에 달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버려졌으나 부산물은 14.8t만 수거됐다. 감량율이 무려 85.8%에 달했다.

물론 기기를 관리하는 인건비와 감량 과정에 필요한 전기 요금이 들어간다. 그래도 기존 수집·운반·처리 방식보다 절반이나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명품인 탓에 기기 값이 좀 비싸다. 그래도 5년만 쓰면 본전을 뽑는단다. 이후 절약되는 비용은 지역 복지를 위해 쓸 수 있다. 구는 1차로 23개 단지 1만 2000가구에 명품 RFID 기기 81대를 들여놨다. 내년에 120대, 2015년 200대를 도입해 관내 아파트 단지 6만 5800가구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경우 해마다 26억원 이상 절약될 것으로 구는 보고 있다. 올해 성북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예상 비용은 51억원이다.

양옥석 재활용팀장은 “재생 퇴비를 쓰는 상자 텃밭도 놓는 등 작은 체험 학습장도 만들 예정”이라며 “또 각종 공지 사항을 전하는 디지털 장치도 도입하는 등 수거기를 생활 친화적인 스마트 기기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6-0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서울 모아주택 사업 기간 최대 2년 단축

공공기여는 완화, 일반분양 늘려 가구당 분담금은 7000만원 감소

관악, 청년친화도시 고도화 사업 첫발

전국 최초 청년친화도시로 선정 취·창업 아카데미 등 3대 과제 추진 맞춤형 청년 지원 등 로드맵 마련

성북 ‘청년친화헌정대상’ 4번째 수상

우수 기초단체 종합대상 받아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