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넘고 진창 뒹굴고… “나는야 로빈 후드”
산을 조금 더 깎으려고 했다. 나무 계단도 완만한 우회로로 만들었다. 앉아서 쉬라고 나무를 보기 좋은 모양으로 깎아 여기저기 눕혀 뒀다. 그런데 위험할 거란 생각은 어른들의 쓸데없는 걱정일 뿐이었다. 아이들은 굳이 비탈길에 올라 밧줄을 부여잡는다. 굳이 험한 계단으로 오른다. 앉으라는 나무 의자는 밟고 뛰어놀기 좋은 발판일 따름이다. 쉼터를 만들다가 옆에 치워 둔 나무를 져 나르더니 이내 집을 짓는다. 인디언집처럼 뼈대를 세우고 앞마당, 뒷마당까지 만든다. 금세 땀 범벅에 흙투성이가 됐지만 아이들의 입과 손과 발은 쉴 틈이 없다.지난 6일 마포구 상암동 ‘유아숲 체험장’엔 구립노을어린이집 아이들 10여명이 들이닥쳤다. 체험장은 도심에서 자라나는 요즘 아이들에게 자연 그 자체를 느끼도록 해 주자는 취지로 만든 곳이다. 자그만 산책로 하나 있던 서부운전면허시험장 뒤편 상암산에 ‘모험놀이마당’ ‘체험놀이마당’ ‘야외교육장’ 등을 1만 5000㎡ 규모로 꾸몄다. 내년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생태연못을 조성해 수생식물 18종을 가져다 놨다. 오색딱따구리, 너구리 등의 동물 30여종과 아까시나무 등 식물 63종도 있다. 꽃사과, 산수유 등 나무 211그루, 낙상홍 등 관목 845그루, 감국이나 금불초 같은 꽃 6300송이를 심었다. 자연 속에서 마음껏 뛰어놀되 노는 와중에 이런 것들을 자연스럽게 보고 배우라는 것이다.
아이들을 인솔한 장미옥 선생님은 “수업 땐 막 뒹굴어도 되는 옷을 하나 따로 준비해 주십사 하고 학부모들께 부탁드린다”면서 “처음엔 옷을 버릴까 봐, 어떻게 놀아야 할지 몰라 멈칫멈칫하던 아이들도 한두번만 겪으면 아주 신 나게 잘 뛰어논다”고 말했다. ‘낙엽 모으기’ ‘꽃 찾아보기’처럼 활동 주제만 던져주면 그다음부터는 알아서 논다는 얘기다. 느낌을 물으려고 아이 몇몇을 붙잡았지만 대답은 흙냄새 가득 토해 내는 거친 숨뿐이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12-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