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말까지 처리시설 설치 완료… 공용배관 교체 땐 25만원 지원
서울시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아리수 생산·공급·서비스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시는 2015년 말까지 정수센터 6곳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100% 도입한다. 기존 정수처리 과정을 거친 물을 오존 처리하고 숯으로 한 번 더 거르는 시설이다. 조류 오염으로 생기는 불쾌한 맛과 냄새, 소독 부산물 등을 제거한다. 현재까지는 하루 수돗물 공급량인 380만t의 18%(70만t)를 담당하는 영등포·광암센터에서만 고도정수처리를 하고 있다. 시는 올해 말까지 강북·암사·구의에도 시설을 도입해 고도정수처리 수돗물 공급을 84%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2015년 뚝도센터도 시설을 갖추면 시 전역에 걸쳐 공급하게 된다.
낡은 공공수도관과 공용수도관 배관 교체에도 박차를 가한다. 올해 47㎞를 포함, 낡은 공공수도관 476㎞를 2018년까지 신형으로 바꿀 예정이다. 또 1994년 4월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 476단지 27만 가구의 공용 배관도 2018년까지 전량 교체할 방침이다. 가구별 최대 20만원인 노후 공용배관 교체 지원금을 올해 25만원으로 늘린다. 무료수질검사 혜택도 제공한다. 공용배관과 세대배관을 모두 교체하면 가구당 80만원까지 지원한다.
물탱크 위생 관리도 강화한다. 오는 7월부터 일반건물에 설치된 소형물탱크 4855개에 대한 청소를 의무화한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4-03-0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