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에너지 분야 전문인력 양성… 각종 자격증 취득 취업률 90% 넘어
한국폴리텍대학 진주캠퍼스 스마트전기과 정미연(41)씨는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경력단절 여성이다. 1993년 진주외국어고를 졸업한 정씨는 곧바로 사무기기 제조·판매회사에 취업했다. 1998년 결혼을 하면서 6년간 다니던 직장을 그만뒀다. 결혼 뒤 14년 동안 가정과 육아에만 전념했던 정씨는 올해 초 새로운 도전을 결심했다. 진주캠퍼스 스마트전기과에 입학하면서 경력단절로부터 탈출을 선언한 것이다.정씨는 “안정적인 일을 하고 싶었지만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할 수 있는 일은 서비스 직종 등 단기적인 일자리뿐이었다”며 스마트전기과 입학 배경을 설명했다. 입학 6개월여 만에 정씨는 전기기능사 자격증 필기시험에 합격했다. 이제 곧 있을 실기시험만 합격하면 지역의 전기설비업체에 취업하게 된다.
정씨는 “산업현장에서 실제 사용하는 기술을 습득하는 실무형 교육이란 점이 한국폴리텍대학을 선택한 계기가 됐다. 일반 전기기술뿐 아니라 태양광과 같은 미래 에너지 기술을 배워 평생 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데다 학교에서 취업 관리도 해준다”고 밝혔다.
한국폴리텍 대구캠퍼스 스마트전기과 2학년 최길영(40)씨도 지난 6월 발표된 제55회 전기기능장 시험에 합격, 전기 전문업체 취업이 확정됐다. 최씨는 “당초 취업이 어려울 것 같아 전기설비업체를 창업하려 했다. 하지만 한국폴리텍대학에서 공부한 덕분에 취업이 확정돼 경력을 쌓을 기회를 잡았다”고 말했다.
한국폴리텍대학 대구캠퍼스와 진주캠퍼스의 스마트전기과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진주캠퍼스 스마트전기과는 기존의 단순 전기 기술과 시스템 제어 기술에 전산응용설계실습과 같은 다른 직종의 기술을 융합시키고, 거기에 전산 IT 수배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 등의 첨단기술로 그 범위를 넓혔다. 서부 경남과 진주 인근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산업체들의 인력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에 경쟁력도 한층 강화돼 2014년도 입시에서는 3.8대1이란 모집 경쟁률을 보이며 지난해 모집경쟁률인 2.1대1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대학을 졸업하고 다시 입학을 한 경우도 지난해 40%에서 44%로 4% 포인트 늘었다. 또 1년, 6개월, 3개월과 같이 다양한 기간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지역사회의 교육 수요에 부응하고 있으며 군 전역자, 경력단절 여성이 입학하는 등 남녀노소 다양한 사람들이 한데 모여 취업에 대한 주춧돌을 쌓고 있다. 여기에다 최근 3년 자격취득률 100%, 전원 자격증 취득이란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스마트전기과에 입학하기만 하면 최소 1개 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해 취업의 문을 넓힐 수 있다.
장세우 진주캠퍼스 스마트전기과 학과장은 “자격증을 취득한 뒤 학생들이 선호하는 공기업과 대기업뿐만 아니라 주택관리, 대형빌딩 시설관리, 관공서 시설 관리 분야 등에 많이 취업을 해 취업률이 90%를 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