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임대아파트 남는 공간 인근 주택가에 싼 가격에 대여
“인근 단독주택에 주차장을 빌려 주었더니 관리비가 매달 6000원이 줄었어요.”구는 7개 임대아파트와 2년 계약을 맺고 남는 주차장을 주위 개인주택 거주자에게 대여하고 있다. 대당 대여 가격은 월 6만 5000원으로 인근의 사설주차장(10만~12만원)보다 40%가량 저렴하다.
김 부회장은 “임대아파트인 관계로 349대의 차량을 댈 수 있는 주차장이 있지만 실제 차량 보유대수는 250대에 불과해 지하 3층 주차장은 남아돌았다”면서 “주택 거주자는 싼 가격에 안전한 주차장을 이용하고 아파트 주민은 관리비를 깎을 수 있으니 일석이조인 셈”이라고 말했다.
현재 39면의 주차장이 대여 중이고 아파트의 월평균 수입은 250만원 정도다. 구는 ‘주차장 공유 사업’이 활성화되자 이 아파트의 정문에 출입 차단기와 폐쇄회로(CC)TV를 다음달까지 설치할 계획이다. 15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것이다.
관리사무소장 신모(66)씨는 “전체 458가구 중 64가구가 구에서 월 35만원을 받아 생활하는 기초생활수급자이고 102가구가 관리비를 연체할 정도로 생활 수준이 높지 않아 월 5000~6000원의 관리비 인하는 아주 큰 도움이 된다”면서 “이제는 아파트 수선유지비를 위해서도 없어서는 안 되는 소득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주차장이 비어 있을 때는 오히려 불량 청소년 등이 차지한 우범지역이었는데 대여하고 관리하면서 오히려 이런 우려도 없어졌다”고 덧붙였다.
구는 올해 450면의 공유주차장을 늘릴 계획이다. 2008년부터 현재까지 836면을 만들었다. 종교시설이 369면으로 가장 많고 임대아파트가 200면으로 뒤를 잇는다. 김영배 구청장은 “주차장 1면당 조성 비용이 3600만원이나 드는 것을 감안하면 임대아파트에 조성한 200면의 주차장은 산술적으로 90억원의 예산을 아낀 셈”이라면서 “잃는 것이 아니라 더해지는 ‘공유’ 활성화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예산 절감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구는 문화예술인과 공간대표 등이 모여 재능과 공간을 나누는 ‘공유성북 원탁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27명으로 시작해 현재 89명으로 늘었고 지난 7월 공감영화제를 연 바 있다. 또 내년에는 지역 도서관에 전기드릴 등 공구를 비치해 주민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