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동안 실행할 진흥 계획 수립
정체성 살리며 쾌적한 환경 구축
용역 결과를 보면 소공동과 회현동 일대는 문화자산 활성을, 장충동과 필동은 공공생활 향상을, 신당동과 황학동은 주민 안전 강화 등을 공공디자인 추진 방향으로 설정했다. 명동과 남대문, 북창동과 다동, 무교동 등 관광특구의 경우 스마트융합, 동대문 패션타운은 도시환경 개선이다. 이와 함께 구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담당자가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담은 가이드라인 3종도 마련했다. 특히 ‘도시 정리하기’ 가이드라인에 따라 신규 시설물을 최소화 및 최적화해 쾌적하고 여유로운 도시경관을 구현할 방침이다.
김길성 중구청장은 “세계 대도시의 구도심을 보면 폐허가 된 곳이 많다. 도시를 제대로 가꾸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서울의 도심인 중구의 권역별 특성에 따라 수립한 공공디자인 계획을 향후 5년간 실행해 누구나 한 번쯤 살고 싶은 중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임태환 기자
2024-12-1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