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만 세대에 실시간 알림 서비스
2040년까지 227만 전세대 확대
이 서비스는 서울 시내 스마트검침으로 전환한 16만 세대 전체를 대상으로 이날부터 시행한다. 스마트검침시스템이란 디지털계량기와 검침단말기를 사용자(고객) 세대에 설치해 검침원의 현장 방문 없이 검침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자동 검침하는 시스템이다.
지난 9~12월 중구 지역 3만 세대를 대상으로 3개월간 시범 운영한 결과, 총 1519건의 누수 알림을 통보했다. 수리를 완료한 세대를 분석한 결과 검침원이 검침할 때는 검침주기 60일간 세대당 평균 49.2t이 누수됐지만, 스마트검침 이후엔 수리 완료 전 3일간 세대당 평균 2.7t만 물이 샜다. 스마트검침으로 세대당 46.5t의 누수량 감소 효과가 나타난 셈이다. 비율로는 94.5%가 개선됐다.
연간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건물 안 누수는 3만 4000건에 달한다. 누수가 발생하면 평소의 수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는 수도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검침으로 매시간 수집되는 물 사용량 중 3일 연속 ‘0’이 없는 세대는 누수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해 카톡 또는 문자로 알려준다.
시는 올해 8만 6100세대를 스마트검침으로 전환하고 2040년까지 서울시 전체 227만 세대로 확대할 예정이다. 누수정보(누수량, 누수기간, 누수 점검방법 등)를 카톡 또는 문자로 받기 원하는 수도사용자는 서울아리수본부 누리집 또는 전화로 신청하면 된다.
황비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