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재초환 개정 필요성 거론
건설업계 ‘불황 탈출 기회’ 기대
여권인 더불어민주당이 23일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의 완화·폐지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서울시와 재건축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8·8 부동산 대책에서 재초환을 폐지하기로 한 데 따른 법 개정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재초환은 재건축으로 발생한 추가 이익이 1인당 8000만원을 넘길 경우 최대 50%까지 세금으로 환수하는 제도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8월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하고 정비사업 공급 속도를 끌어올리는 규제 완화를 진행하며 재초환 폐지를 추진하기로 했다. 국회에는 재초환을 폐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폐지안’이 지난해 6월 발의된 상태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2023년 8월 국정감사에서 “서울시민들의 부담이 줄어들면 좋겠다”며 재초환 개정 필요성을 거론한 바 있다. 같은 해 8월 말 기준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 서울 시내 40개 재건축단지 조합에 통보한 재건축 부담금 예정액은 2조 5811억원이다. 강남권 한 자치구 관계자는 “재초환 완화가 이뤄진다면 재건축 대상 단지의 부담이 줄어들어 주민들로서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 용산구 관계자는 “지역의 노후 주택 재생과 주거 환경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반색하는 분위기다. 서울 양천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재초환을 이유로 일부 조합원들이 사업성을 거론해 추진이 적극적으로 되질 않았다”면서 “폐지를 논의하는 것만으로도 시장이 움직일 수 있는 호재”라고 했다. 조원균 한국공인중개사협회 홍보과장은 “재건축 활성화와 공급 확대 등에 큰 도움이 되며 장기적으론 부동산 거래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서유미·김기중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