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준비위원회가 통합시 설치법 확정에 앞서 통합시 명칭과 청사 소재지 등을 모두 확정하기로 했으나 명칭만 ‘창원시’로 결정하고 청사 소재지는 통합시 출범 이후로 미루어 놓은데 따른 것이다.
청사소재지는 3개 시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려 확정짓지 못하고 마산 종합운동장, 진해 옛 육군대학부지, 창원 39사단 부지 등 시 마다 1개씩 3개 후보지만 선정했다. 최종 결정은 통합시가 출범한 뒤 타당성 조사 용역 등을 거쳐 통합시 의회에서 결정하도록 했다. 이와 관련해 마산·진해 지역에서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통합시 이름에 이어 청사 소재지 마저도 창원지역으로 가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다.
마산여성단체협의회 등 마산지역 52개 단체로 구성된 ‘통합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3일 ‘통합시 명칭 및 청사소재지 결정 무효화 촉구 및 통준위 해체 뒤 재구성 요청’ 탄원서를 통합준비위원회에 냈다.
이들 단체는 탄원서에서 “통준위의 통합시 명칭과 청사 소재지 결정은 통합정신을 무시하고 3개시 균형발전을 저버린 창원 싹쓸이 결정으로 이를 즉각 무효화 하고 통준위를 재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통준위에서 지금까지 결정된 사항을 모두 백지화하고 통준위를 다시 구성하지 않으면 진해시 시민단체 등과 연대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사)마산발전범시민협의회도 지난 2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통합시 청사 위치를 한 곳으로 매듭지을 것을 촉구했다. 협의회는 통준위가 민감한 사안인 통합시 청사 위치를 복수로 선정하고 통합시 의회로 미루어 놓은 것은 직무를 회피하고 지역 갈등을 부추기는 결정이라면서 오는 6월 지방선거 전에 단일 후보지를 확정해 통합시가 축복속에 출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산시 의회도 지난달 26일 마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통합청사는 지방선거 전에 매듭지어야 하며 명칭과 청사는 통합정신에 따라 배분돼야 한다고 밝혔다. 시 의회는 통합절차가 공정하지 않게 진행되면 통합원천 무효를 비롯해 강력히 대처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장동화 통준위 위원장은 지난달 22일 창원지역 주민들에게 창원 39사단부지가 통합시 청사부지로 확정된 것처럼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보내 물의를 빚고 있다.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