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사실이 잇따라 알려지면서 최근 들어 영천지역의 돔배기 거래량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천 공설시장에서 하루 3000여만원어치씩 판매되던 돔배기 판매량이 80% 정도 감소했다는 것.
때문에 영천지역 돔배기 판매업자들은 영천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조사기관의 검사 방법 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다.
영천 공설시장 상우회 정용택(65) 회장은 “영천 돔배기에서 검출됐다는 수은 농도와 관련해 얼마나 인체에 위험한지, 어떻게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명확한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시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이 소비 부진으로 이어지면서 상인들만 다 죽게 됐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게다가 영천시가 추진 중인 돔배기 한방 제품화 사업도 전면 중단됐다. 시는 돔배기의 명품 브랜드화를 위해 2008년 3월 대구가톨릭대 및 돔배기 생산자협회와 3자간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같은 해 6월에는 영천전통돔배기연구소를 개소한 뒤 6000만원을 들여 기능성 돔배기 개발 용역을 발주했다.
시는 이처럼 파문이 확산되자 환경부 등에 인체의 혈중 수은농도와 관련해 정밀조사 추진 계획을 조속히 수립해 줄 것을 요구하는 한편 조사에 영천시 관계자가 참여하는 방안을 건의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 발표된 정확한 조사 결과를 아직 통보받지는 못했지만 조사 인원이 적어 어느 정도 신뢰해야 할지 모르겠다.”면서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의 관계 기관 회의에서 추가 정밀 조사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농림수산식품부 등 관계 기관은 빠른 시일 내에 영천을 포함한 영남지역을 대상으로 돔배기 수은 축적 원인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해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영천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