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미경 서울시의원(새누리당, 도시계획관리위원회)은 지난 6일 오후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사회적 혼합단지 운용실태와 정책방향’ 토론회에 참석에 이같이 지적했다.
|
|
| 우미경 서울시의원이 6일 오후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사회적 혼합단지 운용실태와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의회 제공. |
사회적 혼합주택은 2003년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은평구에서 추진했고, 2007년부터 실입주를 했다. 서울시의 사회적 혼합주택 정책이 추진된 지 12년이 된 시점이다.
우미경 의원은 “현재 기존의 사회적 혼합주택의 갈등들이 해소되지 않은 채, 혼합주택을 확대한다면 갈등 양상은 더 복잡해 질 것이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혼합주택에 입주하는 시민의 몫”이라고 우려했다.
우 의원은 또 최근 방문했던 오스트리아 사회주택 사례를 소개했다. 차 없는 시민들이 조합을 결성하면 지방정부가 건립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의 사회주택이다. 오스트리아는 사회주택 설계때부터 주민이 가족처럼 어울리며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을 꼼꼼히 기획, 디자인 하여, 주민간 갈등 요소를 최소화하고, 주거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 의원은 “갈등과 사회적 배제를 치유하자고 한 것이 혼합주택이었다”면서 “스스로 차별이 없다고 느껴지면 갈등이 없어진다”고 덧붙였다. 이 날 토론회는 우미경 서울시의원이 대표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의원연구단체 ‘여성과 도시문제 연구회’ 주최로 열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