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최조웅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 송파6)은 지난 11일 제264회 정례회 행정국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2014년 특별교부금 정산한 결과, 2014년에 특별교부금 1,976억 원을 교부했으나, 현재까지 집행액은 1,541억원(78%), 집행잔액은 434억 원(22%)에 이르는 등 집행현황 점검 및 관리감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
|
| 최조웅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
서울시 ‘서울특별시 자치구 재원조정에 관한 조례’ 제12조에 자치구청장은 조정교부금 산정에 필요한 자료를 작성하여 시장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동 조문상 특별교부금 관련해서도 산정에 필요한 자료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서울시는 특별교부금 산정 기초자료를 별도로 관리하고 있지 않아 왔다.
서울시는 2015년 ‘특별교부금 시책사업 연계 및 사후관리지침’에서 “특별교부금 교부 목적 달성 여부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를 통해 특별교부금 사업을 내실화” 하겠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특별교부금 집행잔액 파악 및 교부한 내용대로 집행 하였는지 여부에 대해 전혀 점검을 하지 않는 등 특별교부금을 주먹구구식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금까지 서울시 특별교부금 교부는 산정방식 없는 자의적인 교부로 사업 타당성 검토는 뒷전이었고 이에 따라 “시혜성 교부” 라는 논란이 제기되었으며, 동 조례 제11조 제2항에서 자치구청장의 교부신청이 없는 경우에도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교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 특별교부금 자의적 남발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있어 왔다.
이에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최조웅 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 송파6)은 “특별교부금은 서울시의 소중한 재원으로 특별교부금이 원칙 없이 시장과 자치구청장의 정치적 선심사업에 사용된 경우가 적지 않음을 지적하며, ‘서울특별시 자치구 재원조정에 관한 조례’ 개정을 통해 의회에서 사업타당성 등을 살펴보고 투명하게 교부하는 방안, 특별교부금의 교부비율인 10%를 하향조정하여 자의적인 집행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과 함께 특별교부금 집행 등 사후 관리‧감독을 위한 근거를 마련 할 것”이라고 하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