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정개발연구원 윤혁렬 연구위원은 21일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운행 실태 분석’이라는 자료에서 지난달 3일 오전 7∼9시 강남대로, 수색-성산로, 미아-도봉로 중앙차로와 가로변차로를 동시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강남대로 중앙차로의 정시성은 0.52인데 비해 가로변차로는 0.73이었다. 정시성은 버스가 운행 예정시간에 정시 도착하는지를 측정한 지표로,0에 가까울수록 정시 도착이 제대로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수색-성산로의 경우 중앙차로의 정시성은 0.26인데 비해 가로변차로는 0.31이었으며, 도봉-미아로는 중앙차로 0.56, 가로변차로 0.69여서 세 노선 모두 중앙차로의 정시성이 높았다.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운행 속도도 향상돼 수색-성산로의 중앙차로 운행속도가 시속 26.5㎞인데 비해 가로변차로는 16.7㎞였다. 도봉-미아로 중앙차로 22.9㎞, 가로변차로 18.3㎞였으며, 강남대로는 중앙차로는 17.8㎞, 가로변차로는 17.4㎞였다.
윤 연구위원은 “광역버스나 간선버스가 주로 다니는 중앙버스차로의 경우 자가용, 택시 등의 방해를 받지 않아 지선버스가 다니는 가로변차로에 비해 버스 정시성과 운행 속도가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