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전 경남지사가 중앙 정치무대로 진출한 뒤 시·도간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각종 현안사업을 어떻게 해결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경남도 주민들과 공무원 등은 김 총리 후보가 지사로 재임할 당시부터 해결되지 않고 있는 주요 현안에 대해 긍정적인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
김 후보자는 지사 재임 당시 “낙동강 살리기 사업은 홍수조절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라고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나 후임 김두관 지사는 보 건설과 준설은 환경파괴사업이라고 반대해 낙동강 사업과 관련해서는 경남도정에 혼선이 벌어지고 있다.
김 후보자는 “동남권 신공항 입지에 대해서도 밀양지역이 최적지로 반드시 밀양에 유치돼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김두관 지사도 김 총리 후보와 같은 주장이나 부산은 가덕도 유치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정부의 남강댐물 부산공급 추진에 대해 김 총리 후보자는 “남강댐물을 부산까지 공급하기에는 수량이 모자라 줄 수 없다.”며 반대입장을 고수했고 김두관 지사도 같은 의견이다.
김 총리 후보는 LH의 지방혁신 도시 이전과 관련해서도 “당초 주택공사가 진주혁신도시로 오기로 한 만큼 본사 전체가 진주혁신도시로 오는 것이 당연하다.”고 주장하며 진주와 전주 두 곳으로 분할해 이전하자는 전북의 주장을 일축했다. 김 지사도 같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처럼 경남지사 시절 경남의 입장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김 총리 후보자가 국정을 조정하는 국무총리가 된 뒤 부산과 경남, 전북의 입장을 어떤 논리로 설득해 현안을 현명하게 푸는 조정자 역할을 할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김지사는 9일 간부회의에서 “전임 지사가 총리가 됐기 때문에 경남지역 현안 해결에 좋은 결론이 나도록 역할을 해 줄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경남도지사 출신의 총리 탄생을 도민들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말한 뒤 “지역 사정을 잘 아는 김 총리 후보가 앞으로 낙동강 사업과 남강댐물 부산공급 논란, 동남권 신공항 밀양 유치, LH 진주혁신도시 이전 등의 현안을 잘 챙겨 주시리라 기대한다.”며 김 총리 후보자에게 지역 현안 해결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했다.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