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근속자 자녀 파격 가산점
전국금속노조 기아차지부 광주공장지회는 12일 “생산직 신규채용 때 정년퇴직자 및 25년 이상 장기근속자의 직계자녀 한 명에 한해 채용 규정상 적합한 경우 우선 채용한다는 내용에 최종 합의했다”고 밝혔다.
노사는 이번 협의를 통해 1차 서류전형에서는 전체 합격자 가운데 정년퇴직자와 장기근속자 등의 직계 자녀 숫자를 25%로 할당하기로 했다. 또 2차 전형(면접) 때 본인이 취득한 면접 점수의 5%(3.5점)를 가산해 주는 방안을 확정했다. 2차 전형은 면접(70점)과 시험(30점) 점수를 합산해 총 100점 기준으로 치러진다.
노조는 장기근속자 직원 자녀 한 명에게 1차 전형 때 가산점 10%를 줬던 기존 방식을 고쳐 달라고 요구했고, 회사 측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이번 합의가 이뤄졌다. 지난해 화성·소화·광주공장 등에 채용된 생산직 260명 가운데 장기근속자 자녀는 3~4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합의는 현재 진행 중인 광주공장의 생산직 직원 채용 때부터 적용된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기존 50만대에서 올부터 62만대 생산체제로 늘리기로 합의하고, 지난 2월 15일 생산직 직원 채용을 위한 원서접수를 마친 뒤 현재 최종 선발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번 채용에서는 생산직 근로자 평균 연봉이 8000만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3만명이 넘는 지원자가 몰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귀족 노조의 대물림’이란 비판과 함께 불공정 시비가 일고 있다. 기아차 광주공장의 한 비정규직 노동자는 “고용안정과 높은 임금을 보장받는 자리를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은 현대판 음서제가 아니냐”며 “헌법 소원 등을 통해 누구나 최소한의 기회균등을 보장받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