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주민 주도 사업 ② 지역에 대한 이해 ③ 소득 재분배
같은 벽화마을인데 무엇이 달랐던 것일까?
먼저 사업의 주체가 달랐다. 서울 종로구 창신·숭인 도시재생센터장을 맡고 있는 신중진 성균관대 교수는 “동피랑마을 등에서 벽화를 통해 마을이 활기를 띠면서 전국에 우후죽순으로 비슷한 사업을 하는 곳들이 나타났다”면서 “성공한 사업을 따라 하는 것은 문제가 없는데, 문제는 주체가 주민이 아닌 외부인이 됐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신 교수는 “현재 서울에만 이화동, 염리동, 문래동을 포함해 서울에 조성된 10여개의 벽화마을 중 주민이 시작 단계부터 관여한 사업이 몇 개나 되겠느냐”고 되물었다. 오동훈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도 “정부가 주도한 사업의 결과물이 생활에 불편으로 이어진다면 갈등이 깊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지역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벽화마을을 조성하면서 관광에 초점을 맞췄는데, 이화동·염리동 등은 주거지 성격이 더 강했던 곳”이라면서 “주거지를 관광화하는 도시재생을 추진하니 주민으로서는 불만이 생길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 이미 관광지가 되어버린 곳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관광으로 발생하는 지역 경제활성화의 과실이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신 교수는 “마을 주민을 동네관광 가이드나 도슨트로 고용하는 등 주민들의 일자리와 연결하는 방법도 고민해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04-3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