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 장애인종합복지관 착공
“관악산 무장애 숲길에서 보듯이 장애인이 살기 좋은 환경은 모두가 살기 좋은 환경이지요.”유종필 관악구청장은 10일 열린 낙성대동 장애인종합복지관 착공식에서 상기돼 있었다. 장애인종합복지관 건립은 유 구청장이 2010년 선거에 출마할 때부터 내세웠던 공약이다. 하지만 지역 주민의 반대와 재정 문제 등 여러 가지 난관에 부딪히면서 5년 동안 복지관 건립이 지지부진했다.
관악구는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4번째로 장애인이 많지만 변변한 장애인시설은 없었다. 유 구청장은 구의회에서 “구청장을 그만두는 한이 있어도 장애인종합복지관 건립은 추진하겠다”고 주장하는 등 강력한 건립 의지로 모든 난관을 뚫었다.
결국 관악시설관리공단 건물을 고쳐서 장애인복지관을 건립하기로 했지만, 이번에는 건물에 입주해 있던 대한노인회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혔다. 어르신들을 간곡하게 설득한 끝에 드디어 복지관 건립의 첫 삽을 뜨게 된 것이다. 유 구청장은 “관악구에 등록된 2만 1000여명 장애인 가운데 90%가 후천적 장애인이다. 불의의 사고를 겪을 수 있는 현대인은 누구나 장애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라면서 “이들을 위한 시설이 꼭 필요하다”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장애인종합복지관은 2층 운동시설 및 미용실, 3층 물리치료실, 4층 직업훈련실, 5층 교육시설 등으로 구성되며 옥상은 장애인의 정서를 위한 텃밭으로 꾸며진다. 9층 건물 전체가 오롯이 장애인만을 위한 시설로 사용된다. 이날 착공식은 수화로도 진행돼 장애인을 배려한 관악구의 꼼꼼한 지원이 빛을 발했다.
구는 2013년 관악산 제2광장부터 열녀암까지 1.3㎞ 구간에 목재데크를 깔아 아무런 장애 없이 숲을 즐길 수 있는 무장애 숲길을 만들었다. 전동 휠체어 2대가 교차할 수 있는 무장애 숲길은 장애인뿐 아니라 서울시민 모두를 위한 길이 됐다. 유 구청장은 “누구나 손가락이 불편한 경험처럼 작은 장애를 겪은 일이 있다”며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그 사회가 얼마나 선진화됐는지 보여 주는 지표”라고 강조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