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성수 구청장과 함께한 ‘100인 공론 협치론장’
“골목길마다 의류수거함이 방치돼 있습니다. 개수를 적정량으로 줄여 방치되지 않게 관리하고, 예쁘게 디자인도 했으면 합니다.”“학교 주변 통학로 중에는 차량 통행이 많은 곳이 있습니다. 이들 통학로는 인도와 차도가 불분명해 위험한데, 통학로 바닥을 녹색으로 칠해 구분하면 어떨까요.”
“계단, 평평한 경사로, 안전펜스를 함께 설치해 보행자, 유모차, 어르신 모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오르막길을 만들어 주세요.” 지난 28일 오후 7시 서울 금천구청 대강당에서는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지역 주민들은 지역 발전 방안을 놓고 2시간 동안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거듭했다. 이날 이곳에서는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나풀나풀(나누고 푸는) 100인 공론 협치론장’이 열렸다. 주민, 유관부서 관계자, 금천구협치회의 위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차성수 금천구청장도 동석했다.
이번 토론에서는 보행과 환경개선 관련 5가지 의제가 다뤄졌다. 학교 주변 보행안전 개선 사업(산기슭도로), 쓰레기·의류수거함 개선 사업, 위험 전신주 정비 사업, 20m도로 보행 환경 개선 사업, 골목길 보행 환경 개선 사업 등이다.
구는 의제선정을 위해 골목길에 관심 있는 마을특파원 17명을 뽑았다. 이들은 지난 3월 한 달간 직접 골목길을 돌며 보행, 환경개선, 안전 등과 관련된 사항을 조사했다. 한 마을특파원은 “조사 결과 총 2776건의 불편사항을 찾아냈다”며 “이 가운데 여러 차례 공론을 거쳐 5가지 의제를 선정했다”고 했다.
마라톤 토론이 끝난 뒤 현장 투표를 통해 사업 우선순위가 정해졌다. 쓰레기·의류수거함 개선 사업이 51표를 얻어 1위에 올랐고, 학교 주변 보행안전 개선 사업(산기슭도로)이 15표를 얻어 뒤를 이었다. 구는 이번 협치론장에서 결정된 사업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다음달 중 금천구 지역사회 혁신계획을 세울 계획이다. 계획수립 이후 사업 시행 과정과 결과에 대해서도 주민들과 의견을 나눌 기회를 마련할 예정이다.
차 구청장은 “협치론장은 기초자료 조사부터 의제선정, 사업시행까지 금천구민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장”이라며 “작지만 생활에 밀접한 사업을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지역을 변화시키고 재구성하는 원동력을 얻을 수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