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능력의 한계에 도전하는 올림픽이 끝나면, 감동의 ‘패럴림픽’이 이어진다.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패럴림픽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공식 인정하고, 국제패럴림픽위원회가 주관한다. ‘패럴림픽’은 원래 척추상해자(paraplegic)들의 경기라 ‘올림픽’이란 단어와 합쳐 ‘Paralympic’이라 불렀지만, 이후 시각장애, 뇌성마비, 절단 및 기타 장애인 등이 함께 참가하면서 국제패럴림픽위원회는 ‘Para’를 ‘함께’(with)라는 의미의 라틴어로 다시 정의했다.
패럴림픽은 영국 루드윅 구트만경이 1948년 2차 세계대전 참전으로 척추 상해를 입은 군인들의 재활을 위해 연 경기가 기원이다. 첫 번째 대회는 런던하계올림픽과 같은 날 개최됐고 1960년 7월 로마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부터 제1회 패럴림픽으로 공식화됐다. 우리나라는 1968년 제3회 이스라엘 라마트간대회 때부터 참가했다.
평창동계패럴림픽은 9일 개막해 18일 막을 내렸다. 총 49개국이 참가해 승리보다 값진 땀을 쏟아냈다, 특히 북한과 조지아, 타지키스탄 등 3개국은 처음 참가했다. 우리나라의 패럴림픽 개최는 1998년 서울하계패럴림픽 이후 두 번째다. 사진은 서울하계패럴림픽 당시 육상 남자 휠체어 400m 부문의 경기 모습.
국가기록원 제공
2018-03-19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