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은 오는 9일 안동예술의 전당 국제세미나실에서 ‘내방가사의 세계기록유산 가치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학술대회에서는 국내외 학자 6명이 내방가사 문학·사회적 가치, 세계기록유산 가치를 조명한다.
조동일 서울대 명예교수는 내방가사에 담긴 가치를 여성 주체적 자기 고백 역사에서 찾고 이것이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것에 주목한다.
마크 피터슨 브리검영대학(미국) 교수는 내방가사는 조선 유교 사회에서 여성 지위와 역할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다양한 권리가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이정옥 위덕대 교수는 침묵을 강요받은 시대에 여성이 ‘글하기’로 한글을 읽고 썼다는 점에 주목한다.
손야 호이슬러 스톡홀롬대학(스웨덴) 교수는 내방가사가 조선 시대 여성들 일,관습,여흥 등 갖가지 일상생활을 보여주는 기록물로,여성 작가 감정과 생각을 잘 보여준다고 한다.
내방가사는 조선 중기 이후 주로 영남지방 여성이 창작하고 향유한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든 여성 집단문학이다.
초기에는 여성에게 유교 가치관을 전파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됐으나 이후 다양한 소재와 정제한 운율을 갖춘 형식으로, 개항한 뒤에는 민족 가치와 외세에 대한 저항의식과 같은 내용으로까지 발전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2016년부터 안동문화권 여성들 목소리인 내방가사를 세계기록유산으로 올리기 위한 일을 했다.
이번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앞으로 기록유산 등재 대상 기록물을 확정하고 도록·아카이브도 구축한다.
그 뒤 내방가사를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과 국제목록에 등재할 수 있도록 힘을 쏟을 계획이다.
한국국학진흥원은 2016년부터 안동문화권 여성들 목소리인 내방가사를 세계기록유산으로 올리기 위한 일을 진행하고 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