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정개발연구원 조용모 연구위원은 8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서 열린 성북천 복원사업의 효과 평가 정책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성북천은 성북구 성북동에서 발원해 동대문구를 거쳐 청계천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조 연구원은 “시범적으로 성북상가 아파트지역 134m의 복개하천에 대해 복원사업을 실시,용존산소량과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등을 측정한 결과 복원수역의 수질이 복개수역의 수질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복개구간에서는 식물이 전혀 살 수 없는 환경인 반면 복원구간에는 달뿌리풀 등 58종의 식물이 자랐고,생물도 복개구간에서는 나방파리류 1종만 채집됐지만 복원구간에서는 배치레,잠자리 등 12종이 채집됐다.
성북천 복원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보면 연간유지비 1억원,할인율 5∼11%,수혜기간 25년,성북구 인접 8개구 주택의 절반에 편익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를 계산하면 현재 가치는 282억∼594억원으로 추정됐다.
조 연구원은 “경관도 과거 낙후됐던 모습에서 복개구간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된 후에는 시야가 확 트여 이미지가 개선됐다.”고 밝혔다.
그는 ▲복원사업의 결정과정에서 경관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효과 반영 ▲경관과 수생태계 지표 개발 ▲복원된 하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복개하천 복원과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등을 시에 건의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