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4일 시정개발연구원에 의뢰해 장기 주택공급 전망 등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주택종합계획’을 마련해 15일 공청회를 갖는다고 밝혔다.2003년 개정된 주택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주택정책 장기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서울시는 이번 공청회를 거쳐 6월쯤 주택종합계획을 확정한다.
계획안에 따르면 2012년까지 서울에서는 63만∼78만가구, 평균 71만가구의 주택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조사됐다. 규모별 주택 수요는 전용면적 60㎡이하인 소형주택은 35만가구,60∼85㎡에 해당하는 중형주택은 18만가구,85㎡이상인 대형주택은 18만가구 등이다.
이 같은 주택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평균 1469만평의 택지가 필요하며 연간 6만 5000∼6만 8000호가 공급돼야 한다. 향후 서울의 주택 공급 능력은 120만가구 정도이며 이 가운데 90%가량은 아파트 재건축(20.7%)이나 주택재개발(13.2%), 도심재개발(10.9%), 뉴타운사업(7.0%) 등 재정비 지역에서 공급한다.
택지개발이나 마곡 등 미개발지역, 그린벨트 같은 신규 개발 가능 지역에서는 나머지 10.5%(12만 7400가구)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2012년까지 주택공급이 계획대로 이뤄지면 주택보급률은 2005년 91.7%에서 2012년에는 선진국 수준인 109.7%로 늘어난다. 인구 1000명당 주택수도 현재 234.7에서 286.7로 증가한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관계자는 “2012년까지 주택공급을 위해서는 약 4조 6000억원이 필요해 서울시는 주택기금 출연액을 대폭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면서 “저소득가구를 위해서는 공공임대주택을 전체 주택수의 10% 수준까지 공급하고 임대료 보조제도도 점차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유종기자 b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