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하나되어 일으키자”
“하나되어 일으키자” 7일 강원도 양양군 낙산사 경내에서 경찰관들이 지난 5일 산불에 의해 잿더미로 변한 현장을 정리하고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
동해안 산림의 주종을 이루는 소나무 숲이 소실되면서 초래된 자연 경관의 훼손은 관광산업에 직·간접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양양읍 조산리에서부터 강현면 정암리에 이르는 해안 송림 대부분이 불에 타면서 국도 7호선 주변 경관의 황폐화가 불가피하다. 특히 양양의 대표적 관광 상품인 낙산사 동종(보물 제479호)을 비롯해 원통보전, 홍예문 등 주요 시설과 가람을 에워싼 수백년된 사찰림이 모두 불에 타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해안절벽과 해송이 어울려 관동팔경중 하나로 꼽힌 낙산사 의상대주변도 당분간 산불 이전의 모습을 볼수 없게 됐다.
여기에다 산림과 주택 소실 등으로 농촌민박과 홈스테이 등 90년대 이후 육성돼 온 관광농업 기반에도 큰 타격이 예상된다. 주민들은 경관 및 관광상품의 훼손과 산불로 인한 부정적 이미지 등이 관광객 감소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더구나 여름철 수학여행 특수를 앞둔 시점에서 발생한 이번 산불은 이미 속초와 고성·양양지역의 콘도미니엄을 비롯한 숙박업계의 수학여행단 예약 취소 사태로 이어지고 있어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금강산 관광 일정이 취소되고 통일전망대 출입이 금지되면서 고성지역 관광산업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자치단체 및 관광업계, 주민들은 당장의 산불 피해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지원은 물론 장기적인 지역 경제 부양책을 바라고 있다. 특히 산불 훼손지의 조기 복구와 함께 훼손지를 활용한 관광 개발이 가능하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양양·고성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