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ㆍ수출 동반 침체… 매출 반토막
상여금은커녕 월급 주기도 ‘막막’
수도권과 격차도 커져 대책 시급
지난 1일 찾은 광주 하남산업단지의 한 금속부품 제조업체. 기계음이 가득했지만, 현장 분위기는 냉랭했다. 30여년간 회사를 이끌어온 신모(60) 대표는 “지난해만 해도 직원 상여금을 챙겼지만 올해는 존립 자체가 위태롭다”며 고개를 떨궜다. 직원 임모(34)는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던 예전과 달리 올해는 엄두도 못 낸다”고 했다.
광주 북구에서 자동차 세차용품을 생산·판매하는 중소기업 B사 대표는 “매출은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는데 원자재 가격은 고공행진”이라며 “직원 월급 지급도 벅차다”고 토로했다. 전남에서 디자인 회사를 운영하는 김모(50·여) 대표는 “협력업체 결제 대금 마련하느라 매일 전쟁 중”이라고 했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의 ‘9월 기업경기조사’에서도 불황은 체감됐다.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5로 전달 대비 1만 올랐다. 비제조업은 66으로 제자리걸음이었다.
제조업체의 가장 큰 애로 요인은 ‘내수 부진’(22.8%)이었으며, 이어 ‘경쟁 심화’(15.2%), ‘불확실한 경제상황’(12.6%) 순으로 조사됐다. 비제조업도 ‘내수 부진’(29.3%)이 최다였고, ‘인력난·인건비 상승’(17.9%), ‘경쟁 심화’(10.1%)가 뒤를 이었다.
문제는 광주·전남 중소기업들이 거래 은행 대출에 의존하는 구조적 한계 탓에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것이다. 지역 기업들이 기술 투자와 인재 확보에 나서고 싶어도 여력이 없어 악순환이 반복된다.
광주전남연구원 관계자는 “지방 기업의 경쟁력 약화는 지역 소멸로 직결된다”며 “정부 차원의 집중 전략이 절실하다”고 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