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인데 아랫집이 밤새 술 먹고 노래를 불러요…도저히 못 자겠어요.”
지난 5일 오후 11시 서울에 있는 한 구청의 당직실. 적막을 깨는 날카로운 목소리가 수화기를 뚫고 나왔다. 시끄러운 소리로 잠을 잘 수 없다는 주민의 격앙된 항의였다. 담당 직원은 곧장 ‘경찰에 신고하셨나요’, ‘관리 사무소에 연락하셨나요’라고 물으며 상황을 파악했고, 경찰과 관리 주체가 현장에 출동할 수 있도록 조율했다.
새벽이 깊어갈수록 전화는 끊이질 않았다. 고성방가부터 골목길 가로등이 깜빡거린다는 신고까지 민원 내용도 다양했다. 담당 직원은 “연휴라고 민원이 줄어드는 일은 거의 없다”며 허탈하게 웃었다.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 대부분의 가정이 고향을 찾거나 휴식을 취하지만, 구청 당직실의 불은 24시간 꺼지지 않는다. 주민들의 평온한 연휴 뒤에는 명절을 반납한 채 보이지 않는 전쟁을 치르는 공무원들이 있다.
연휴 기간 이 구청에 접수된 민원은 수십 건에서 많게는 수백 건에 달한다.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는 소음 관련 신고다. “밤새 노래를 부른다”거나 “층간소음 때문에 잠을 잘 수 없다”는 민원이 대표적이다.
소음뿐만이 아니다. 명절 음식물 쓰레기와 뒤섞인 생활 쓰레기 무단 투기 신고도 빗발친다. ‘누군가 우리 집 대문 앞에 음식물 쓰레기를 몰래 버렸다’는 신고에 현장을 나가 보면 악취가 진동하는 쓰레기 더미 속에서 단서를 찾아야 하는 궂은일도 이들의 몫이다.
작은 민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이유는 결국 ‘신뢰’다. 구청 관계자는 “명절에도 행정이 멈추지 않는 이유는 주민들이 언제든 의지할 수 있는 존재라는 믿음을 주기 위해서”라며 “그 믿음을 지키는 것이 우리 역할”이라고 말했다.
임태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