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 국가지정유산 보물 환원을 위한 제언
학제 간 조사·지정보고서·고고학 발굴·홍보 활동 등
5대 추진 과제 제시...“탁월한 위상·성격 지닌 누각”
|
|
| 촉석루 전경. 2025.11.21. 진주시 제공 |
경남 진주시에 있는 ‘촉석루’를 국가문화재로 재지정하려면 체계적인 지정보고서 작성, 촉석루 가치 재정립·성격 규명, 학제 간 종합 연구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남연구원 경남학센터 이재명 조사연구위원·정익환 조사연구원은 최근 낸 ‘진주성 촉석루의 국가지정유산 보물 환원을 위한 제언’에서 5가지 방안을 제시하며 “촉석루의 국가지정유산 보물 재지정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촉석루와 그 장소가 가진 비교 불가한 역사적 가치, 인문·문화사적 가치, 건축사적 가치, 진정성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촉석루는 진주성 내 촉석(수직으로 솟은 벼랑) 위에 지워진 정면 5칸, 측면 4칸, 팔작지붕을 갖춘 2층 높이 대형 누각이다.
고려 고종 28년인 1241년 진주목사 김지대가 창건한 이래 1960년까지 719년간 2차례 다시 지어지고 12차례에 걸쳐 수리된 역사적 유구성을 지닌 건물이다.
평상시에는 사신 접대처나 과거 시험장으로 이용됐고, 전시에는 진주성 지휘 본부로 활용되기도 했다.
촉석루는 일제강점기인 1938년 보물 제276호로 지정됐고, 1948년 국보로 명칭 승격됐다.
다만 1950년 한국전쟁 시기 폭격으로 전소돼 1957년 국가지정유산 지위를 잃었다.
국가 지원과 모금 활동으로 1960년 복원되었으나, 국가지정유산 지위는 환원하지 못하고 있다.
국가지정유산 환원의 최대 걸림돌은 ‘원형보원 여부’와 ‘촉석루에 딸려 있던 건물인 함옥헌의 부재’다.
이재명 조사연구위원·정익환 조사연구원은 “촉석루 국가지정유산 보물 환원을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부분은 촉석루의 원상복구 여부를 증명하고 주변 경관의 변화가 1960년 복원과정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분석하는 일”이라며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촉석루 관련 문서와 도면들이 다수 보관돼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특히 1937년 촉석루 수리 공사를 위해 만든 실측 도면이 있었고, 이 도면을 바탕으로 1957년 재건공사 도면이 작성된 것으로 확인돼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어 “즉 1957~1960년 촉석루 복원과정은 1937년 촉석루 실측도면을 바탕으로 원형에 가깝게 진행됐다”며 “1937년과 1957년 도면의 일치는 오늘날 촉석루가 지닌 진정성 유지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두 사람은 1957~1960년 촉석루 복원과정은 진주시교육위원회가 경남도를 경유, 당시 문교부 장관에게 공문을 발송하고 그에 따른 승인과 철저한 관리를 거쳐 시행됐다고 설명했다. 원상복원이 공문으로도 확인된다는 의미다.
‘목수계의 정승’이라 불린 임배근 대목장이 복원공사를 하는 등 당대 최고 전문가가 원상복원에 참여한 점도 강조했다.
함옥헌 부재와 관련해 연구진은 “함옥헌은 촉석루에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익루에 해당하나, 임진왜란 이후 시대적 변화에 따라 중건·중수·폐기 등 과정을 거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며 “특히 함옥헌은 1938년 촉석루 보물 지정 당시 이미 유실돼 보물 지정과 그 이후 1948년 국보 승격 조건이 아니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
|
| 촉석루 전경. 2025.11.21. 진주시 제공 |
연구진은 촉석루가 역사적 유구성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가치를 지닌 공간이자 구조물임을 강조하며 국가지정유산 보물 환원에 필요한 5가지 제언을 했다.
▲국가지정유산 보물 지정보고서 체계적으로 작성 ▲2014~2016년 국가유산청 건축문화유산분과위원회 지정 조사보고서의 부결 사유 15개 항목 해소를 위한 자료 집성·논거 확보 ▲고고학 발굴 조사·학술대회 개최를 통한 촉석루의 가치 재정립과 성격 규명 ▲촉석루의 건축사적 특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학제 간 종합 연구 ▲촉석루의 국가지정유산 재지정을 위한 홍보 활동·지역사회의 승격 운동 전개다.
연구진은 “원상 복원 도면을 통해 중건 촉석루의 진정성이 확인된 만큼 관련 사진·도면·사료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2021년 개정된 문화유산법 보물 지정 기준 세부 평가항목에 근거해 체계적인 승격 보고서를 편찬할 필요가 있다”며 “함옥헌의 실체 규명과 촉석루 초석 유존 양상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고고학 발굴 조사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기록원 소장 촉석루 수리 관계 문서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촉석루 관련 문서의 전수 해석·분석도 해야 한다”며 “진주문화원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 전개된 촉석루 국가지정유산 환원을 위한 서명운동·홍보 활동 등 승격 운동을 다시 전개할 필요도 있다”고 강조했다.
진주 이창언 기자














































